2027년까지 그린유니콘 10개 육성, 녹색시장에 20조원 자금 공급

[환경부 자료]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정부가 녹색산업 글로벌 선도국가 도약을 위해 2027년까지 예비그린유니콘기업 10개, 그린스타트업 1000개를 육성하고, 녹색채권·금융 지원을 통해 약 20조원을 녹색시장에 공급한다.

환경부는 26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은 담은 ‘글로벌탑 기후환경 녹색산업 육성방안’을 발표했다.

구체적인 내용을 보면, 청년 중심의 창업 지원을 확대하기 위해 2027년까지 혁신 아이디어·기술을 보유한 기업의 발굴과 단계별 맞춤 지원으로 그린스타트업 1000개사를 육성한다.

이와 함께 미래 유망기업에 대한 사업화 지원, 클러스터 입주, 융자 투자, 홍보컨설팅 등 지원을 집중해 주식시장 상장 전에 기업 가치가 1조원 이상 되는 예비유니콘기업을 10개사까지 육성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정부의 마중물 역할을 강화해 녹색투자 활성화와 녹색 신시장 창출에도 나선다.

한국형 녹색분류체계(K-taxonomy)에 따른 녹색채권 발행비용과 녹색금융 지원을 통해 매년 5조씩 4년간 총 20조원을 녹색시장에 공급한다. 국내 기업의 해외 프로젝트에 투자해 수주 가능성, 사업 안정성을 높이는 녹색수출펀드를 향후 5년간 4000억원 규모로 신설한다.

정부는 또 2028년까지 녹색융합클러스터 10개소를 조성해 K-녹색산업의 국내 성장기반을 확보한다.

지역 산업과 연계한 녹색융합클러스터로,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포항), Post플라스틱(부산), 폐반도체(구미), 태양광폐패널(해남), 바이오가스(보령), 청정대기 녹색융합클러스터(광주), 생물소재 녹색융합클러스터(공모) 등을 조성한다.

물산업 특화 클러스터로 수열 클러스터(춘천)를 물에너지 산업 글로벌 성공모델로 육성하고 대청댐, 충주댐 등 전국에 확대 조성한다. 녹색클러스터는 지역산업과 연계해 관련 일자리 생태계를 조성한다는 구상이다.

정부는 해외시장 개척을 적극 지원해 2027년까지 해외진출 100조원을 달성한다는 목표도 내놓았다.

메콩강 유역 종합수자원관리 등 개도국 수요를 공략하고 중동의 대형 녹색 프로젝트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 주도의 협력채널을 확대한다

현장 맞춤형 민·관 원(one)팀 녹색산업 협력체계를 확대하고, 진출지역을 다변화한 현지 수주지원단을 파견하고, 수주 일정과 난이도를 고려한 프로젝트별 지원으로 현장 애로를 신속하게 해결할 예정이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