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고인물 반드시 썩어…의대증원은 사회구조 변화의 과정”

오세훈 서울시장은 “고인물은 반드시 썩는다”며 “의대정원 증원은 사회구조 변화의 한 과정”이라고 29일 밝혔다. 오세훈 시장이 전날 오후 서울시청에서 열린 외신기자 간담회에서 말하고 있다.[연합]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오세훈 서울시장은 “고인물은 반드시 썩는다”며 “의대정원 증원은 사회구조 변화의 한 과정”이라고 29일 밝혔다.

오 시장이 최근 의대정원 증원 논란에 따른 전공의 파업 사태에 대해 글을 써 공식 입장을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오 시장은 이날 페이스북 ‘오세훈’ 계정을 통해 ‘길드인가, 대항해시대인가’라는 글을 올려 이런 입장을 밝혔다. 앞서 전날에는 페이스북의 또 다른 계정인 ‘오세훈 Oh Se-Hoon’을 통해 “‘의사 인력을 확충해야 한다’는 원칙은 지켜져야 한다”는 취지의 영상을 올리기도 했다.

먼저 ‘길드인가, 대항해시대인가’라는 글에서 오 시장은 “중세 유럽의 길드는 처음에 순기능을 발휘해 귀족 횡포를 견제하고 예술을 후원했다”며 “그러나 점차 특권화되며 변화를 거부했다”고 썼다.

그러면서 “길드는 생산과 판매를 독점했고 종사자와 교육생 수, 심지어 노동시간과 판매가격까지도 통제했다”며 “경제는 대항해시대를 거쳐 자본주의로 진화, 발전했지만 길드는 기득권을 고수했고 결국 사라졌다”고 전했다.

오 시장은 “현재 진행되는 전공의 파업은 표면적으로는 의대정원 증원이 사태를 촉발한 것처럼 보이지만 사회구조 변화의 한 과정”이라면서 “의대 증원이 밥그릇 축소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단견”이라고 했다.

그는 “전체 인구는 줄지만 초고령화 시대에 노인 인구는 늘어나 의료 수요는 오히려 팽창할 것”이라며 “폭발적으로 성장할 바이오 산업, 헬스케어, 첨단의료기기와 해외 시장까지 의료의 미래는 망망대해처럼 펼쳐져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폐쇄적인 길드인가, 진취적인 대항해시대인가”라고 되물으며 “현실에 안주하고 싶겠지만 세상은 늘 치열한 경쟁을 감수하는 도전정신을 가진 자의 무대였다. 고인물은 반드시 썩는다”고 글을 마무리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