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한 전기차 주차장에서 충전중인 전기차들. [연합] |
[헤럴드경제=유동현 기자] 국내 전기차와 풍력발전 확대에 따라 2040년 핵심광물 수요가 2021년보다 최대 19배까지 증가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에너지경제연구원(에경연)은 3일 ‘핵심광물 수요 급증에 대비한 자원안보 확보 방안 연구’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전기차 배터리용 양극재와 전기차 모터, 풍력 터빈에 필요한 리튬, 니켈, 망간, 코발트, 희토류 등의 핵심광물 수요를 전망했다.
에경연은 2040년 국내 전기차 보급 대수가 2021년 대비 11배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따라 전기차 배터리용 양극재에 필요한 2040년 핵심광물 수요는 2021년 대비 리튬 15배, 니켈 12배, 망간 19배, 코발트 4배 등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또 전기차 모터에 필요한 2040년 핵심광물 수요는 2021년보다 네오디뮴, 프라세오디뮴, 디스프로슘, 터븀 등이 모두 10배 증가할 전망이다.
2040년 국내 풍력발전 신규 설치 용량은 2022년 대비 8배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2040년 풍력 터빈에 필요한 핵심광물 수요는 2022년보다 네오디뮴 2.6배, 프라세오디뮴 3.1배, 디스프로슘 21.6배, 터븀 2.7배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에경연은 핵심광물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를 거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현실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특히 에너지 전환에 필수적인 핵심광물의 중국 의존도가 높아 중국발 공급 리스크에도 직면했다. 배터리 양극재 공급망의 경우 니켈, 망간, 코발트의 2022년 수요 대부분이 전구체 형태로 중국에서 수입해 충당하고 있다.
오는 2025년 국내 양극재 생산설비 용량은 2021년보다 3배 증가할 예정이다. 양극재 생산에 필요한 수산화리튬 수요도 3배 늘어날 전망이어서 대부분 중국 수입에 기대는 수산화리튬 공급 안정화 방안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더욱이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발효 이후 한국이 전기차 및 이차전지 부문에서 경쟁력을 유지하려면 중국에 의존하는 배터리 핵심광물 및 부품 공급망의 전환이 필요하다. 미국은 향후 전기차 시장 확대 국면에서 가장 중요한 시장으로 꼽힌다. 2022년 기준 한국 전기차용 이차전지 총수출액의 50% 이상을 미국 시장이 차지하는 점을 고려하면 IRA가 요구하는 ‘역내 의무 조달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만 에경연은 핵심광물 자원 및 부품의 중국 의존도가 높은 것은 전 세계적인 추세여서 단기적인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분석도 덧붙였다. 중국은 전 세계 양극재 및 음극재 생산설비의 각각 70%, 85%를 차지하고 있다. 전 세계 리튬, 코발트, 흑연 제조 공정에서도 50% 이상을 차지한다.
에경연은 핵심광물의 수입선 다각화와 함께 재자원화를 강조했다. 에경연은 “이차전지 재자원화는 원재료의 중국 의존도를 낮춰 미국 IRA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이라며 “유럽연합(EU)의 '배터리 법안' 등을 고려해 탈탄소 대응 전략 차원에서도 재자원화한 원료 확보가 중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