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인공지능(AI) 지원을 위해 올해 연구개발(R&D) 예산을 대폭 증액했다. 챗GPT 등 미국의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가 세계 산업 판도를 흔들고 있는 가운데 대대적인 투자를 바탕으로 미국을 따라잡겠다는 의지다. ▶관련기사 2·3면
6일 홍콩사우스모닝포스트(SCMP) 등에 따르면 전날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국회격) 정부 업무보고에서 중국은 올해 R&D 예산을 전년 대비 10% 늘린 3789억위안(약 70조1495억원)으로 책정했다. 이는 외교, 교육, 국방 등 주요 예산 가운데 증가폭이 가장 큰 분야다. 기초 연구 분야에 대한 지출도 전년 대비 13.1% 증가해 980억위안(약 18조1437억원)이 배정됐다.
SCMP는 “과학기술은 올해 예산에서 전례 없는 중요성을 띠고 있다”며 “미국의 첨단기술 규제가 강화되는 가운데 칩 제조에서 AI에 이르는 전선에서 자립을 추진하고 미국을 따라잡으려는 의지”라고 평가했다.
특히 이날 업무보고에서 제시된 ‘AI+ 행동’ 개념은 중국의 확고한 AI 지원 의지를 보여준다.
중국 정부는 보고서의 ‘디지털 경제 혁신 발전’ 항목에서 “디지털의 산업화, 산업의 디지털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디지털 기술과 실물 경제의 심도 있는 융합을 촉진하겠다”며 “빅데이터, AI 등의 연구·응용을 심화하고, ‘AI+ 행동’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 정부가 2010년대 인터넷을 산업 전 영역으로 확장하는 ‘인터넷+’라는 개념을 쓴 적이 있지만, ‘AI+ 행동’이라는 개념을 공식적으로 내놓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국가 차원의 종합적 지원 강화를 시사하는 ‘AI+ 행동’ 개념은 미국의 대중국AI 제재가 날로 강력해짐에 따라 중국이 미국과의 AI 경쟁력에서 밀려나고 있다는 평가가 부상하는 가운데 나왔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같은날 열린 정협 회의에서는 중국 최대 사이버 보안업체 치후(奇虎)360의 창업자이자 정협 위원인 저우훙이 회장이 AI 안건을 제출했다. 저우 회장은 최근 인터뷰에서 “AI 신기술은 기본적으로 소프트웨어이므로 (미국과의) 격차는 1∼2년 안에 따라잡을 수 있다”고 호언한 인물이다.
올해 안건에서도 저우 회장은 “현재 중국은 일반대규모언어모델(LLM) 핵심 기술에서 미국을 따라잡으려면 시간이 걸리지만 LLM 응용 방면에서는 중국 특색 LLM 발전 노선을 걸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정부와 중앙 국유기업이 앞장서서 다양한 응용 사례를 구현해 LLM의 산업화 발전을 추진하고, 기업들은 제각각 비즈니스에 맞게 활용해야 한다”고 발언하기도 했다.
중국 정부의 첨단기술 자력갱생 격려 속에 기업들도 AI 기반 서비스를 속속 내놓고 있다. 지난 5일 알리바바그룹은 후이와 웹사이트를 통해 온라인쇼핑몰 타오바오 판매자를 위한 생성형 AI 테스트를 시작했다. 타오바오에서 물건을 파는 상인들은 이 AI 기술을 통해 상품 설명이나 그래픽을 만들 수 있다. 김빛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