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53년만에 그린벨트 활용법 찾는다…‘그린벨트 효율적 관리방안’ 용역 발주

서울시가 50년 넘게 유지된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의 새로운 활용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용역에 들어간다고 6일 밝혔다. 사진은 서울 그린벨트 지도.[서울시 제공]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서울시가 50년 넘게 유지된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의 새로운 활용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용역에 들어간다고 6일 밝혔다.

개발제한구역은 도시의 무분별한 확대를 막고 도시 주변 자연환경을 보전하기 위해 1971년 도입된 제도다. 53년 만에 새 시도에 나서는 셈이다.

시는 ‘개발제한구역의 효율적 관리·활용 방안 마련’ 연구용역을 이달 중 착수한다. 엄격하게 유지되던 그린벨트를 지역 여건과 현실에 맞도록 변화상을 제시해 도시공간 대개조의 발판을 마련한다는 취지다.

그린벨트는 자연환경을 보전하고 시민에게 여가·휴식 공간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순기능이 있지만, 제도적 제약의 장기화로 지역 주민의 주거환경이 악화되고 주변 지역과의 개발 격차가 심화돼 다양한 불만이 고조됐다.

서울 주변 그린벨트는 1971년 이후 2회에 걸쳐 지정돼 현재 면적은149.09㎢에 이르며, 이는 서울 전체 행정구역 대비 24.6%에 달하는 크기다.

강남구 세곡동, 서초구 내곡동 등 서울의 일부 그린벨트는 보금자리주택 보급사업 등으로 이미 주택지 개발이 진행됐다. 그 주변 지역도 대규모 주택단지가 들어서거나 역세권 개발이 진행돼 과거 그린벨트 도입 당시와는 양상이 크게 달라지고 있다고 시는 설명했다.

용역에서는 개발제한구역에 대한 행위 제한과 자연환경 보존이라는 획일적인 기준에서 벗어나 현실적이고 변화되는 도시공간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기준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시는 우선 개발제한구역 내 불합리한 관리기준의 적정성을 분석해 현실에 맞게 조정하고 사실상 도시화한 지역 등 해제가 필요한 지역에 대한 도시관리 방안을 마련한다.

또한 시대적 변화와 미래 수요에 대응한 새로운 도시공간 체계를 대비하기 위해 그린벨트 내 전략적 개발사업 대상지도 함께 검토한다.

시는 이를 기반으로 광역적 차원에서 도시 서울의 성장 변화에 대응하고 기성 시가지와 개발 여건이 마련된 지역을 살펴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21일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규제 혁신안’을 발표하면서 비수도권의 그린벨트를 대폭 해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는 정부가 2001∼2003년 춘천·청주·전주·여수·제주·진주·통영권 7개 중소도시 그린벨트를 전면 해제한 이후 20년 만의 대대적 변화다.

하지만 당시 정부 발표는 비수도권 그린벨트 해제에 국한돼 있어 이번에 서울시가 자체적인 방안 마련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양병현 서울시 도시계획과장은 “이번 기회로 개발제한구역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기준이 마련될 것”이라며 “시대적·지역적 변화 속에서 지역주민이 공감하고 도시의 성장변화에 맞는 공간변화를 제시해 주민 불편을 해소하고 도시공간 대개조의 발판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