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타리나 비클렌코(왼쪽부터) 독일무역투자진흥처 한국대표, 한독상의 스페탄 스프로이 독일 부회장, 게오르크 슈미트 주한독일대사관 대사, 마틴 행켈만 한독상의 대표, 찰리 레이 코메르츠 뱅크수석 이코노미스트 및 주요 참가자들이 ‘2024년 경제 전망 (KGCCI Economic Outlook 2024)’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독상공회의소 제공] |
[헤럴드경제=김민지 기자] 한독상공회의소는 지난 7일 파크 하얏트 부산에서 부산시와 공동으로 ‘2024년 경제 전망 (2024 KGCCI Economic Outlook)’ 행사를 개최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행사에는 정재계 인사 총 100여명이 참석해 한독 비즈니스 관계 발전과 한국 주요 산업의 경제 전망에 대해 논의했다. ▷부산시의 ‘투자유치 설명회’ ▷주한독일대사의 ‘정치상황 전망’ 발표 ▷코메르츠뱅크 ‘세계 경제 전망’ 발표 ▷독일무역투자진흥처의 ‘한국과 독일 무역 현황’ 발표 ▷패널 토론의 순서로 진행됐다.
스테판 스프로이 독일 부회장은 환영사를 통해 “전세계적 어려움 속에서도 한국과 독일 간의 경제적 유대 관계가 지속되고 있어 기쁘다”며 “최근 한독상의 기업 설문조사는 독일 기업들이 한국과의 협력 및 투자에 대한 지속적인 의지를 보여주고, 부산에서 진행되는 이번 행사는 양국 간 경제 협력이 제공하는 기회를 조명할 것”고 강조했다.
‘정치상황과 한독관계’에 대해 연설한 게오르크 슈미트 주한독일대사는 “2024년은 지속되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가자지구 전쟁과 그 여파, 북한의 위협 등 여러 이슈로 인해 어려운 해가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하지만 우리는 친환경 녹색전환 경제, 인구 고령화와 인공지능의 역할과 같은 광범위한 동향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며 “독일과 한국 간의 더 밀접한 협력은 이러한 문제를 대처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코메르츠 뱅크의 찰리 레이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세계 경제 전망에 대한 기조연설을 진행했다. 카타리나 비클렌코 독일무역투자진흥처 한국대표는 한국과 독일 무역 현황에 대해 발표했다. 한편, 부산시는 ‘부산 글로벌허브도시 조성에 관한 특별법’과 부산형 기회발전특구 추진전략을 독일기업 관계자에게 설명했다.
마틴 행켈만 한독상공회의소 대표의 사회 하에 이뤄진 공개 토론회에는 서종찬 GTF코리아 대표, 전일승 윌로펌프 대표, 크리스토프 노박 닥서코리아 대표이사 등이 각 산업 분야에 대한 관점과 글로벌 기업에 있어 대두되는 한국 비즈니스의 중요성에 대해 대담했다.
이날 한독상공회의소와 회원사들, 독일클럽은 부산 가덕도에 위치한 소양무지개동산(옛 소양보육원)에 기부금 600만원을 전달했다. 전달된 기부금은 아이들의 교육의 기회를 높일 수 있는 차량 구매에 사용될 예정이다.
마틴 행켈만 대표는 “한독상공회의소, 독일클럽, 독일 기업들의 공동 노력은 지역사회에 환원하고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오는데 대한 헌신을 보여준다”며 “미래세대를 지속적으로 지원하려는 의지를 담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