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7년 축산농가 5곳 중 2곳 ‘스마트축산’…“축산업 경쟁력 한단계 UP’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왼쪽)이 지난달 23일 경기도 포천시 가농바이오를 방문해 스마트팜 시설에 대해 대화를 나누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정부가 인공지능(AI) 기술 등을 포함한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스마트축산 보급 농가 비율을 오는 2027년까지 40%로 확대키로 했다.

14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스마트축산 기술을 도입한 농가는 현재 전업축산농가 3만1506곳 중 23%인 7265곳에 불가하다. 이에 농식품부는 2027년 전업축산농가 5곳 중 2곳 수준인 1만3000곳까지 늘리겠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스마트축산 장비와 솔루션 보급을 위해 패키지 사업 예산으로 올해 180억원을 편성했다.

또 스마트축산 보급 확대를 위해 축종별 최적 성과 도출 모델을 올해 20개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국내외 전문가와 관련 기업 등이 참여하는 스마트축산 AI 경진대회를 연중 개최하고, 다음 달 부터 양돈 플랫폼 구축을 위한 시범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로 했다. 새로 이 기술을 도입한 농가를 위한 실습 교육장을 상반기 내 두 곳 구축하고, 권역·분야별로 컨설팅·사후서비스(A/S)팀을 확대할 예정이다.

이 밖에 스마트축산 기자재의 사후 관리를 강화하기 위한 ‘사후관리 이행 보증제도’도 상반기 도입할 계획이다. 이달 중에 수출지원단을 구성해 축산 스마트장비와 소프트웨어 등을 묶어 수출하는 체계를 구축한다.

축산업 데이터의 수집, 분석 등을 지원하기 위해 축산물품질평가원에 플랫폼을 10월까지 구축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스마트축산 현황·성과를 조사해 정책 수립과 기업의 솔루션 개발·보완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앞서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지난달 6일 지능형 스마트양돈 경기평택 축산농장 로즈팜과 23일 경기 포천 지능형 산란계 농가인 가농바이오를 찾아 애로사항를 청취하는 등 스마트축산에 남다른 관심을 보여주고 있다. 현장방문을 통해 착수된 양돈플랫폼 구축을 위한 시범 프로젝트가 내달부터 진행된다.

송 장관은 “스마트축산은 노동력 부족과 생산성 향상, 악취와 가축질병 관리에서 매우 중요한 수단”이라며 “우리 축산업의 경쟁력과 지속가능성을 한 단계 높일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