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밥만 먹으면 심하게 가래가 끓는 사람들이 있다. 객담이라고도 불리는 가래는 기관지나 폐에서 생성되는 끈적끈적한 점액성 액체를 말한다. 평소에는 괜찮다가도 유독 식후에 심해지는 가래는 어떤 이유 때문인 걸까?
◇ 역류성식도염
가장 흔한 원인은 역류성식도염이다. 역류성식도염은 위 속 음식물과 위산이 함께 역류하면서 식도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중앙대병원 호흡기알레르기 내과 신종욱 교수는 “역류성식도염이 있으면 위산이 식도 옆에 있는 기도 쪽 신경을 자극해 가래가 많이 나올 수 있다”며 “심할 경우 후두까지 위산 등이 올라가 다시 기도로 들어가면서 심하게 기침?가래가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식사 후 잦은 가래와 함께 ▲가슴 쓰림 ▲목 답답함 ▲속 쓰림 등도 함께 나타난다면 역류성식도염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 폐나 기관지의 염증
폐나 기관지 쪽이 예민하다면 식후에 가래가 끼는 증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신종욱 교수는 “▲만성기관지염이나 ▲급성기관지염 ▲기관지확장증 ▲천식 등이 가래를 일으키는 흔한 원인이다”며 “진료를 받을 때 오랜 치료를 요구하는 이러한 근본적인 질환이 있는지 잘 살펴보고 상담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만성 기관지염?천식 등이 있으면 평소 끈적끈적한 점액성 가래가 생기고, 폐렴?폐농양?기관지확장증 등의 질환이 있을 땐 양이 많은 누런색 가래가 생긴다.
◇ 위염?비염?후비루증후군 등
기도(상기도, 하기도)와 호흡기관은 바로 옆에 붙어 있어 위염, 비염, 후비루증후군 등 다양한 질환 또한 가래 유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신종욱 교수는 “위산 역류, 위염, 비염, 후비루증후군 등이 다 독립적인 게 아니고 같이 있는 경우도 많다”며 “그럼 더 문제가 될 수 있어 복합적인 관점에서 진료, 진단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심지어 천식도 같이 생길 수 있는데, 그럼 기침과 가래가 많이 나올 수 있다. 한편, 후비루증후군이란 코와 목에서 분비하는 점액이 밖으로 나오지 않고 인두에 고이거나 목으로 넘어가는 증상을 말한다. 평소 가래가 뱉어지지 않고 목에 걸린 느낌이 있으면 의심해볼 수 있다. <도움말=중앙대병원 호흡기알레르기 내과 신종욱 교수>
#휴람에 대한 궁금한 점이 있으면 휴람 해외의료사업부 김수남팀장에게 문의하면 자세한 안내를 도와드릴 것입니다.휴람이 상담부터 병원선정·진료예약·치료·사후관리까지 보호자로서 도와드릴 것입니다.
▶ Kakao ID : huramkorea
▶미국, 캐나다 무료 전화(Call Free) : 1-844-DO-HURAM(1-844-364-8726)
▶직통전화 : 070-4141-4040 / 010-3469-4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