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헤럴드DB] |
[헤럴드경제=김민지 기자] 10여년 전 일본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던 한국의 임금수준이 일본을 넘어선 것으로 분석됐다. 동시에 대기업의 누적된 높은 임금인상으로 인해 일본과 달리 대·중소기업 간 임금격차는 더욱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영자총협회(이하 경총)가 17일 발표한 ‘한·일 임금현황 추이 국제비교와 시사점’에 따르면, 2002년 한국의 상용근로자 월 임금총액 수준은 179만8000원으로, 같은 기간 일본 385만4000원(38만5600엔)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그러나 지난 2022년 한국은 399만8000원으로 일본 379만1000원(38만5500엔)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규모별로도 2002년 한국의 대기업 임금 228만4000원·중소160만8000원으로, 일본 대기업 483만6000원(48만3800엔)·중소기업 310만6000원(31만700엔) 보다 훨씬 낮았지만, 2022년에는 모두 일본보다 높아졌다.
2002부터 2022년 사이 한국 대기업 임금인상률은 157.6%에 달한 반면, 일본 대기업 임금은 오히려 6.8% 감소했다. 중소기업 임금 인상률도 한국은 160.8만원에서 339.9만원으로 111.4%의 인상률을 보였으나, 일본은 2002년 31만700엔에서 2022년 33만2500엔으로 7.0% 인상되는데 그쳤다.
10년 동안의 근로시간 변화까지 고려하면, 한국과 일본의 임금인상률 차이는 더 크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은 2002년부터 2022년까지 월 근로시간이 13.8% 감소하는 동안, 월 임금총액(초과급여 제외)은 122.3% 늘었다. 그 결과 시간당 임금은 2002년 9954원에서 2022년 2만5661원으로 157.8% 상승했다.
반면 같은 기간 일본은 근로시간과 임금에 거의 변동이 없어, 2022년과 2002년의 시간당 임금도 비슷했다.
대·중소기업 간 임금격차는 한국이 일본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대기업 임금을 100으로 할 때 중소기업 임금수준은 한국가 57.7로, 일본(73.7)에 비해 낮았다. 2002년에는 일본(64.2)이 우리나라(70.4)보다 낮았지만, 이후 20년 동안 우리나라 대기업 임금이 급격히 인상됨에 따라 우리 임금격차가 일본보다 확대됐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최근 일본이 임금인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이는 지난 20년간 임금수준이 제자리에 머물렀던 것에 기인한다”며 “우리는 일본과 달리 대기업의 누적된 높은 임금인상으로 초래된 임금격차와 이에 따른 이중구조 심화가 다양한 사회적 갈등을 초래하고 있는 만큼, 고임금 대기업일수록 임금인상을 최대한 자제하면서 청년 일자리 확대와 중소협력사의 경영여건 개선에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