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공식품·외식 물가 둔화?…2년 전보단 여전히 높아

서울 중구 명동의 한 음식점 앞에서 관광객들이 메뉴를 살피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김벼리 기자] 최근 가공식품과 외식 물가가 대체로 올랐지만 그 상승폭은 다소 줄어들었다. 다만 2년 전과 비교하면 물가 상승률은 여전히 높다.

18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에서 외식 부문을 구성하는 세부 품목 39개 중 지난해 같은 달 대비 물가가 떨어진 품목은 없었다. 이중 27개(69.2%)는 물가 상승률이 전체 평균(3.1%)보다 높았다.

가공식품도 세부 품목 73개 중 물가 상승률이 ‘플러스(+)’를 보이는 품목이 49개에 달했다. 물가가 줄어든 품목보다 두 배 이상 많았다. 전체 품목 중 28개(38.4%)의 물가 상승률은 전체 평균치보다 높다.

최근 물가 상승률이 둔화세를 보이고 있지만, 물가 수준은 본격적으로 오르기 시작한 2년 전과 비교하면 여전히 높다.

빵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달 130.10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2% 오르는 데 그쳤다. 다만 본격적으로 오름세를 보이기 시작한 2022년 2월과 비교하면 19.0% 높다. 우유 물가지수도 2년 전보다 15.9% 높은 수준이다. 피자 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1.9% 올라 상승폭은 둔화했지만 2년 전보다 12.7% 높다. 자장면도 1년 전보다 3.7%, 2년 전보다 13.9% 각각 높아 격차를 보였다.

소주(외식)와 라면(외식)도 1년 전보다 3.9%씩 올랐지만 2년 전 대비 각각 15.4%, 15.0% 높다. 김밥은 1년 전 대비 6.4%, 2년 전 대비 17.1%로 10%포인트(P) 이상 차이가 났다. 지난달 가공식품 중 가장 많이 하락한 라면의 경우 1년 전보다 물가지수가 4.8% 떨어졌는데, 2년 전과 비교하면 7.4% 높다. 스낵과자도 1년 전보다 2.4% 낮지만 2년 전보다는 11.7% 높다.

업계에서는 식품사들이 원재료 가격 하락을 고려해 제품 가격을 낮춰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소비자단체협의회는 최근 성명을 내 “주요 식품 기업들이 하락한 원재료 가격을 즉시 출고가, 소비자가에 반영해야 한다”며 “기업이 한 번 올린 소비자가격을 내리지 않는 경우가 많으나 짧은 기간 유례없이 올린 식품 가격을 반드시 제자리로 돌려놓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농림축산식품부도 최근 식품기업들과 간담회를 열고 원재료비 하락분을 제품 가격에 반영할 것을 요구하며 가공식품 담합 발생 가능성을 상시 감시하겠다고 밝혔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