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양영경 기자] 정부가 물가 안정을 위해 유류세 인하 조치를 추가로 연장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관세 인하 대상에 체리·키위·망고스틴을 추가하고, 적용 물량도 무제한 확대해 수입과일 공급을 늘린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8일 윤석열 대통령 주재로 열린 민생경제점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최근 물가 동향과 대응 방향을 보고했다.
![]() |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연합] |
지난 2월 소비자물가는 3.1% 오르면서 전달(2.8%)보다 상승폭을 확대했다. 근원물가는 2%대 중반 수준이지만 과일·채소 등 먹거리 중심으로 높은 물가가 지속하고 있다는 게 정부의 판단이다.
최 부총리는 이 자리에서 “국제유가 불안이 지속된다면 유류세 인하를 올해 4월 이후에도 추가 연장하는 방안을 검토할 것”이라며 “범부처 석유시장점검단을 통해 과도한 인상도 단속하겠다”고 밝혔다.
유류세 인하는 지난 2021년 11월 약 6개월 한시적인 조치로 도입된 후 올해 4월까지 총 8차례 연장됐다. 휘발유 유류세는 리터(ℓ)당 615원으로, 인하 전 탄력세율(820원)보다 205원 낮다. 경유는 리터당 212원, LPG 부탄은 73원 각각 인하됐다.
최 부총리는 또 “장바구니 물가 안정을 위해서 재정과 세제지원을 강화할 것”이라며 “긴급 농축산물 가격 안정자금 1500억원을 즉시 투입하겠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수입 과일 공급을 늘리기 위해 관세 인하 적용 물량을 무제한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현재 바나나·파인애플 등 24종인 관세 인하 품목에 체리·키위·망고스틴을 추가한다.
아울러 식품 가격에 원가 하락분이 반영되도록 업계와 지속적으로 소통하되, 업계 부담 경감을 위해 옥수수·대두·설탕 등 주요 식품 원료 관세는 인하하기로 했다. 주요 서비스 공공요금은 상반기 동결 원칙을 유지하고, 개인 서비스 물가는 각 부처가 동향을 지속해 점검한다.
최 부총리는 “2% 물가가 조속히 안착할 수 있도록 전 부처가 물가 안정을 정책의 최우선 순위에 두고 모든 정책역량을 모아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