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rf] |
[헤럴드경제=박병국 기자] 초저가를 앞세워 국내 이커머스 시장을 잠식하고 있는 알리익스프레스(이하 알리)가 대관 인력을 강화한다. 중국 이커머스를 향한 정부의 대책에 대응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알리는 전날 홈페이지를 통해 대관 인력을 뽑는 채용공고를 냈다. 알리는 해당 직군의 업무로 ▷대정부 관계 지원을 위한 국내 네트워크 구축▷정부 관련 업무 주제 추진 및 위기 관리 모니터링 ▷국제 및 한국의 정책 환경 변화 등을 꼽았다. 알리는 지난 1월 홍보팀과 함께 대관팀을 신설했다. 현재 알리의 대관 책임자는 국내 이커머스 출신이다.
알리는 특히 채용 직무요구 사항으로 ‘정치, 커뮤니케이션, 국제 관계, 법률, 경영학 관련 분야’ 학위소지자와 ‘기업 공공 정책 및 대정부 관계, 공공 행정, 무역 협회 또는 NGO 등 공공정책 경험’을 제시했다. 국회와 정부 인사 영입에 관심이 쏠리는 대목이다.
온라인 유통 시장을 장악한 쿠팡 역시 대관업무를 강화하며 사업의 불확실성을 줄인 전례가 있다. 불공정 약관 조항, 공정위 제소 논란 등이 끊이지 않던 지난 2020년, 쿠팡은 국회 보좌관과 정부 인사들을 대거 영입했다. 쿠팡의 추경민 부사장도 서울시 정무수석 출신이다. 검경 출신과 감사원 출신, 대통령실 국가안보실 출신 인사도 영입했다. 지난해 9월에는 서울중앙지방검찰청에서 공보를 담당한 이혜은 전 부장검사가 쿠팡에 입사했다.
알리의 대관 인력 채용은 국내 유통업계와 정부의 압박에 대한 대응 차원이다. 실제 지난달에는 국내 이커머스 기업의 요청에 따라 산업부에서 해외직구 대응 간담회가 열렸다. 온라인쇼핑협회와 쿠팡, 11번가, 지마켓, 쓱닷컴 등은 이 자리에서 “역차별을 해소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달 초에는 국모조정실 산하 해외직구 종합대책 테스크포스(TF)가 꾸려졌다. 가품, 품질 문제뿐만 아니라 알리 등 중국이커머스 기업의 공세로 국내 산업 자체가 흔들릴 수 있다는 업계의 우려가 투영됐다.
또 지난 13일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는 ‘해외 온라인 플랫폼 소비자 보호대책’이 발표됐다. 전자상거래법 개정을 통한 국내 대리인 지정 의무화와 직통 전화 설치 등이 핵심이다. 알리는 다음날인 14일, 물류센터 건립 등 약 1조5000억원 규모의 투자 계획을 공개했다.
한편 산업통상자원부는 금명간 총 4명의 인력(팀장+사무관 3명)으로 구성된 해외직구 전단팀을 꾸리고, 다음 주부터 본격 가동에 들어간다. 산업부에서 해외직구전담팀이 꾸려지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금까지는 산업기반실 안에 있는 유통물류과에서 알리 등 중국 이커머스에 대한 대응을 해왔다. 앞으로는 신설되는 전담팀에서 맡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