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서귀포 섶섬 연안에서 발견된 미기록 딱총새우류인 알페우스 벨루루스(Alpheus bellulus), 국면은 호랑무늬딱총새우[국립생물자원관 제공] |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주로 열대·아열대 바다에 사는 딱총새우가 제주 연안에서 다른 물고기와 공생하는 모습이 처음으로 발견됐다. 이는 국내 바다가 따뜻해졌다는 증거가 될 수 있어 정착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국립생물자원관은 박진호 전북대 교수와 함께 지난해 11월 제주 서귀포시 섶섬 연안 수심 15m 지점 모랫바닥에 딱총새우 20여마리 이상이 서식하는 것을 발견했다고 21일 밝혔다.
연구진은 표본을 확보한 뒤 동정(생물종을 확인하는 작업)을 거쳐 이 딱총새우들이 국내 미기록종인 '알페우스 벨루루스(Alpheus bellulus)' 종임을 확인했다.
미기록종은 해외에서 서식하는 것이 알려졌으나 국내에서 발견된 적이 없어 기록이나 보고가 없는 종을 말한다.
연구진은 알페우스 벨루루스의 국명(한국 내에서 사용되는 표준 명칭)을 ‘호랑무늬딱총새우’로 정하고 연내 학계에 보고할 예정이다.
호랑무늬딱총새우는 지난 2018년부터 서귀포시 연안에서 관찰됐으나 위협을 느끼면 재빨리 내부가 복잡한 굴로 피해 동정이 이뤄지지 못하다가 이번에 정확한 종이 확인됐다.
국내에 딱총새우가 없지는 않았다. 26종의 딱총새우가 국내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다른 물고기와 공생하는 종이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호랑무늬딱총새우는 원래 일본 남부 연안 등 열대·아열대 바다에서 산다.
위도상으로는 부산보다 북쪽인 일본 연안에도 호랑무늬딱총새우가 살지만 난류에 영향받는 일본 연안이 수온이 높다. 이 때문에 호랑무늬딱총새우가 서귀포시 연안에서 확인된 것은 국내 바다가 따뜻해졌음을 보여주는 증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연구진은 서귀포시 연안에서 호랑무늬딱총새우가 간헐적으로 관찰되고 있어 수온 상승으로 이 지역에 완전히 정착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추가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