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요양돌봄서비스 통합연계…통합판정체계·통합지원센터 설치

윤석열 대통령이 21일 강원 원주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건강하고 행복한 노후’를 주제로 스물두 번째 열린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연합]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정부는 일상샐활이 어려운 노쇠 어르신이 사시던 곳에서 건강한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의료요양돌봄서비스를 통합연계 제공한다.

의료·요양·돌봄 필요도에 대한 통합판정체계를 도입하고, 시·군·구에 통합지원센터를 설치해 필요한 서비스를 체계적으로 연계한다.

정부는 21일 강원도 원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 스물두 번째, 건강하고 행복한 노후’를 개최하고 이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어르신이 원하는 의료요양돌봄 서비스를 건강보험공단, 주민센터 등을 통해 구분없이 장기요양, 돌봄서비스를 신청하면 연계해 신청할 수 있게 된다.

신청·접수 정보 및 서비스 제공 이력 등을 모든 돌봄 제공기관들이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통합정보시스템 구축을 검토한다.

어르신에게 필요한 적정 서비스로 연계하기 위해 의료·요양·돌봄 필요도를 객관적으로 판단하는 통합판정체계는 2027년까지 도입을 추진한다.

의료돌봄 통합판정 도구를 시범적으로 활용, 복합적 욕구가 있는 노인에게 의료요양돌봄 통합지원을 제공하고, 서비스 원스톱 제공을 위해 어르신의 생활·건강상태 전반을 파악해 돌봄 계획을 수립, 필요한 서비스를 연계·제공하는 케어코디네이터 배치를 2026년부터 추진한다.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 등을 통해 시·군·구 통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퇴원 노인 서비스 연계체계 구축을 추진한다.

정부는 지난 2월 국회에서 통과된 ‘의료·요양 등 지역 돌봄의 통합지원에 관한 법률’의 시행령시행규칙을 마련하고,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수립할 계획이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