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19일 지방지주 회장, 은행장과 가진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는 모습. [금융감독원 제공] |
[헤럴드경제=강승연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21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정상화 방안과 관련해 “부실 PF 사업장을 다시 정상 궤도에 올려 놓기 위해 경·공매 등을 통한 사업장 정리·재구조화를 중점적으로 유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이날 오후 서울 여의도 주택건설회관에서 개최된 ‘부동산 PF 정상화 추진을 위한 금융권·건설업계 간담회’에서 한승구 대한건설협회장, 정원주 대한주택건설협회장 등 건설업계 유관단체장 및 건설사·금융회사 대표들과 만나 PF 정상화 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이 원장은 “현재까지 금융권 PF 연체율은 2% 후반대로 금융시스템 측면에서는 관리 가능한 수준이지만, 고금리 및 공사비용 상승 등으로 사업성이 현저히 악화된 PF 사업장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원장은 경·공매를 통한 부실 사업장 정리 방침을 재차 강조하고 “PF 사업장의 사업성을 보다 정교하게 평가하고 부실 사업장 정리를 촉진하기 위해 사업성 평가 기준과 대주단 협약 개편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보다 엄격한 사업성 평가를 통해 경·공매, 재구조화를 활성화하겠다는 취지다.
아울러 일부 증권사·캐피탈사·보험사 등 2금융권을 대상으로 진행 중인 PF 수수료 관련 현장검사를 언급하며 현장의 불합리한 제도·관행을 개선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현장검사를 통해 PF 금리와 수수료 등이 대출 위험에 상응해 공정과 상식 차원에서 합리적으로 부과되고 있는지 점검하는 등 건설업계의 금융부담 완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건설업계 참석자들도 사업장별 옥석가리기와 정리·재구조화를 통한 사업성 개선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을 표하고, 정상화가 가능한 사업장에 대해서는 자금공급을 확대하고 과도하게 PF 금리·수수료를 요구하지 않도록 개선해달라고 요청했다.
이 원장은 금융권에 대해서는 정리·재구조화 활성화를 위해 부실 사업장의 매수 기반 확충을 위한 금융권 정상화 지원 펀드의 조성규모 확대를 고려해 달라고 당부했다. 여전업권과 저축은행업계의 경우, 내달 중 각각 2000억원, 757억원 규모의 지원펀드를 추가 조성할 예정이다.
이날 이 원장은 충당금 적립 강화, 부실 사업장 정리 노력을 통한 재구조화 사례가 점차 늘고 있다며 모범사례 4곳의 상황을 소개하기도 했다.
▷사업용도를 데이터센터로 전환해 내년 본PF 전환과 착공을 추진 중인 대전의 한 물류센터 브릿지론 사업장 ▷토지 재매각을 통한 가격 인하로 사업을 재추진하게 된 강원의 주상복합 브릿지론 사업장 ▷선순위 채권 할인 매입을 통해 사업성을 개선한 대구 아파트 브릿지롯 사업장 ▷대출 만기 구조를 개선해 안정적 사업을 추진하게 된 대구·경기 아파트 사업장 등이다.
끝으로 이 원장은 “금융권과 건설업계가 손실 분담을 통해 한 발짝씩 양보하며 노력해 나간다면, 사업장 재구조화 등을 통한 부동산 PF 연착륙이 보다 원활히 이뤄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