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감사원 입구 모습. [연합] |
[헤럴드경제=서정은 기자] 감사원이 지난 2018년 '9·19 남북군사합의'에 따라 북한이 파괴한 북한군 최전방 감시초소(GP)에 대해 불능화 검증이 부실하게 진행됐다는 의혹을 감사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감사원 등에 따르면 감사원 특별조사국은 지난 18일부터 국방부 등을 상대로 북한 GP 파괴 부실검증 감사를 진행 중이다. 이는 전직 군 장성 모임인 '대한민국수호예비역장성단'의 북한 GP 불능화 검증 부실 의혹에 대한 감사 청구에 따른 조치다.
남북은 2018년에 체결한 9·19 군사합의에 따라 비무장지대(DMZ) 내 GP 10개씩을 파괴하고, 1개씩은 원형을 보존하면서 병력과 장비를 철수시킨 뒤 상호 현장검증을 진행했다. 당시 군 당국은 북한군 GP 1개당 7명씩 총 77명의 검증단을 파견해 현장 조사를 했고, 북한군 GP가 완전히 파괴됐다고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북한이 9·19 합의 전면 파기를 선언뒤 빠르게 파괴 GP 복원에 나서면서 지하 시설을 보존했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신원식 국방부 장관은 지난 1월 언론 인터뷰에서 “당시 북한은 위에 보이는 감시소만 파괴하고 나머지 지하 시설은 손을 안 댄 것으로 보인다”면서 “수리하면 바로 들어갈 수 있는 정도”라고 말했다.
감사원은 '북한군 파괴 GP 현장검증 당시 지하시설의 파괴 여부를 제대로 검증하지 못해 불능화에 대한 의구심이 충분히 해소되지 않았다'는 검증단의 보고가 묵살됐다는 의혹을 집중적으로 점검할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