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세대 한국 여성 조각가 김윤신 [국제갤러리] |
“이렇게 많은 기자를 만나게 된 건 처음이에요. 이게 마지막일 수도 있겠죠.”
그야말로 뒤늦게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한 ‘라이징 스타’다. 구순을 바라보는 1세대 한국 여성 조각가, 김윤신(89). 최근 서울 종로구 국제갤러리에서 취재진과 만난 김윤신은 적잖이 놀란 듯, 그러나 이내 덤덤하게 이같이 말했다. 4월 개막하는 베니스 비엔날레 본전시 참여 작가로 선정된 소감에 대해서도 그는 “그게 뭔지 잘 몰라서, 별생각이 안 들었다”고 답했다. 세간의 평가에서 완전히 떠나 한 평생 오로지 예술 하나만 바라보고 산 노장의 집요한 집념이 드러나는 대목이다.
김윤신은 1984년 한국과 정반대에 있는 아르헨티나로 이주해 40년간 조각 작업을 해왔다. 그런 그의 존재가 ‘발견’된 건 지난해 2월이다. 남서울미술관에서 개인전을 열었는데, 이 자리에서 그는 이현숙 국제갤러리 회장과 라쉘 리만 리만머핀 대표를 만났다. 이듬해인 올해 1월, 국제갤러리와 리만머핀과 공동으로 전속 계약을 체결했다. 인생 첫 상업 갤러리와의 계약이었다.
다음달에는 세계무대로 진출한다. 전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미술 행사인 베니스 비엔날레 본전시 참여 작가로 당당히 이름을 올리면서다. “저는 ‘동서남북 작가’로 남고 싶어요. 동(東)으로 가나, 서(西)로 가나 매양 같은 마음으로 작업을 했어요.”
나이가 무색하다는 말은 이럴 때 쓰는 것만 같다. 아흔을 앞둔 백발의 그였지만, 깃을 세운 새하얀 셔츠에 트렌치코트를 걸치고 운동화를 신은 이날 그의 모습은 영락없는 예술가였다. 1시간 동안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그는 흐트러짐 없이 꼿꼿한 자세를 유지했다. 무거운 전기톱을 들고 나무를 자르며 거침없이 도전하는 그의 작업 모습이 오버랩 된 순간이다.
김윤신, 합이합일 분이분일, Acrylic on recycled wood, 2019 [국제갤러리] |
베니스 비엔날레를 약 한 달 앞두고, 김윤신의 개인전이 국제갤러리에서 개막했다. 1970년대 제작한 ‘기원쌓기’를 시작으로, 그의 작품세계를 관통하는 ‘합이합일 분이분일(合二合一分二分一·둘을 더해도 하나, 둘로 나누어도 하나)’ 목조각 연작, 비교적 최근 시작한 ‘회화 조각’까지 51점을 선보인다.
특히 알가로보, 라파초, 칼덴, 케브라초, 올리브 등 다양한 나무가 간절히 바라며 기도하는 모습으로 되살아난 조각도 만날 수 있다. 그의 조각은 나무껍질을 붙인 채로, 목재의 속살과 겉살이 대조를 이루는 형상이다.
김윤신과 나무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1935년 함경남도 원산에서 태어난 그가 끝내 머나먼 타지인 아르헨티나로 이주하게 된 것도 나무 때문이었다. 아르헨티나에는 한국에서는 구하기 어려운 단단한 목질의 나무가 많았다. 그렇게 그는 안정적인 국내 대학 교수직을 내던지고 49세가 되던 해, 전업 작가의 길에 들어섰다.
“저는 나무를 좋아해요. 나무는 살아 있어요. 나무가 숨을 쉬는 것을 느낄 수 있어요. (작업을 하기 위해서) 며칠을 두고 나무를 바라보죠. 냄새가 향기로운 것, 생명적인 느낌을 주는 것, 단단한 것, 조금 연한 것, 껍질이 거칠게 있는 것…. 나무가 다 달라요. 느낌이 왔을 때 톱을 들고 거침없이 공간을 만들어 가는 거죠.”
실제로 그의 작품은 나무와 하나가 되는 과정이자 태도다. 그가 나무의 물성을 찬찬히, 그리고 섬세하게 살피며 탐구하는 이유다. 그는 조각 재료인 나무와 더해지며 하나로서의 ‘합(合)’을 이룬다. 이어 나무의 단면을 쪼개 새로운 공간을 만들어가는 여러 ‘분(分)’의 단계로 나아가며 다시금 하나가 된다. 이처럼 서로가 떼려야 뗄 수 없이 연결돼 있다는 김윤신의 우주적 세계관은 작업의 근간이 되는 철학이다.
남미 토속의 토테미즘과 한국의 오방색이 유사하게 존재하는 그의 회화도 결국 조각과 맞닿아 있다. 그의 그림에서는 멕시코 여행에서 만난 아스테카의 문명의 흔적도 발견된다. 작가는 “그림을 해야 조각을 하고, 조각을 함으로써 그림을 그릴 수 있다”며 “기법만 다를 뿐 결국 (조각과 그림은) 같은 것”이라고 했다.
실제로 그는 강도 높은 노동을 요구하는 조각을 오전에 하고, 그림을 그리며 오후에는 몸을 푼다. 그는 따로 시간을 내 운동을 하는 것도 아니다. 그런데도 노년까지 왕성하게 조각을 할 수 있는 배경에 대해 작가는 “작업이 그냥 생활”이라며 “‘나이가 들어서 못 한다’, 이런 것을 생각해 본 적이 없다”고 답했다.
“예술은요. 끝이 없어요. 완성이라는 게 없기 때문에 예술이라고 생각해요. 우리는 순간에 살아요. 이 순간에 살기 때문에 지금 우리의 삶이 예술이라고 봐요.” 작가는 한국으로 돌아와 작업 활동을 쉬지 않고 이어갈 예정이다. 전시는 4월 28일까지. 무료.
이정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