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창수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 비대위원장이 25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연세의료원 종합관에서 전날 열린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와 전국의과대학 교수협의회 간담회에 관련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상섭 기자 |
[헤럴드경제=안효정 기자]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가 25일 교수들의 사직서 제출과 외래 진료 축소를 예정대로 하겠다고 밝혔다. 전의교협은 정부가 의대 정원 2000명 증원 및 대학별 배정안에 대한 철회 없이는 현 사태의 해결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하면서도 백지화가 ‘증원 0명’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
김창수 전의교협 회장 겸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오전 10시 서울 서대문구 신촌 세브란스병원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같은 입장을 밝혔다. 전의교협은 전날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의 간담회에서 전공의에 대한 처벌은 곧 의대 교수의 사직을 촉발할 것이며, 우리나라 의료체계의 붕괴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 등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의교협은 “전공의와 학생, 의료진에 대한 고위 공직자의 겁박은 사태를 더욱 악화시킬 것이므로 이에 대한 정부의 책임 있는 조치가 이뤄져야 한다고 요구했다”며 “정부에 의한 입학 정원과 정원 배정의 철회가 없는 한 이번 위기는 해결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 |
김창수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 비대위원장이 25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연세의료원 종합관에서 전날 열린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와 전국의과대학 교수협의회 간담회에 관련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상섭 기자 |
전의교협은 이날부터 예정됐던 교수들의 자발적 사직과 진료 시간 축소는 변함없이 진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의교협은 입장문을 통해 “입학 정원의 일방적 결정과 정원 배분으로 촉발된 교수들의 자발적 사직, 누적된 피로에 의해 어쩔 수 없는 주 52시간 근무, 중환자 및 응급환자 진료를 위한 외래진료 축소는 금일부터 예정대로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회장은 기자회견 후 질의응답에서 “지금 나오는 2000명이라는 숫자는 의대 현실을 고려하지 않고, 서류상 만들어진 숫자에 불과하다는 게 전의교협의 일관된 입장”이라며 “이 부분에 대해서는 행정소송과 가처분 신청을 낸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김 회장은 증원 규모가 조정될 경우 증원 자체는 수용할 수 있다고 가능성을 열어뒀다. 김 회장은 “숫자를 정하기는 상당히 어렵다”면서 “의대 교육 여건이나 의사 수의 추계가 과학적으로 증명이 되는 상황에서 숫자가 발표돼야 합당한 절차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이어 “저는 이 백지화라는 것이 ‘(증원) 0명’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과학적 사실과 정확한 추계, 현재 교육 및 수련 여건에 기반한 결과가 나오면 누구나 수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김 회장은 교수들의 사직서 제출과 진료시간 축소가 예정대로 진행되는 것을 대화할 의지가 없다는 것으로 볼 수 있지 않느냐는 질문에 “저희가 대화할 의지가 없다는 건가”라고 반문했다.
그는 “협의체 구성과 전공의 처벌 유예에 대한 언급은 과거보다 진일보한 것으로 보지만, 문제는 그 제안의 구체성이나 협의체에서 다룰 내용이 자세하게 정리 안 됐다는 것”이라며 “교수들에게 자발적 사직을 하지 말라고 말씀드릴 수도 없는 상황”이라고 했다.
김 회장은 또 “전공의가 자리를 비운 상태에서 의대 교수들의 피로도가 증가하고 있다”며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의사 개인뿐 아니라 환자의 안전에도 문제가 되고 막대한 피해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입원한 중환자와 응급 환자의 진료에 최선을 다하고 역량을 쏟아붓기 위해서는 외래 진료를 점진적으로 축소하는 게 제일 좋은 선택”이라고 주장했다.
전의교협은 의대 교수들의 사직을 결의한 주체는 아니므로, 자발적 사직 현황을 파악하고 있지 않다고 부연했다. 전의교협은 이날부터 사직서 제출을 예고한 전국의대교수 비상대책위원회와는 별개의 교수 단체다.
김 회장은 “(저희는) 교수들의 사직을 결의하지는 않았고, 자발적 사직 있으면 존중하고 지지한다는 입장”이라며 “전국의대 교수 비대위에서는 오늘부터 사직서를 제출하기로 결론내렸고, (전국 40개 의대 중) 거의 대부분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 |
김창수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 비대위원장이 25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연세의료원 종합관에서 전날 열린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와 전국의과대학 교수협의회 간담회에 관련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상섭 기자 |
전국의대교수 비대위는 전의교협과는 별도로 성명을 내고 이날부터 의대 교수들의 사직서 제출이 시작된다고 알렸다.
전국의대교수 비대위는 “우리는 파국을 막지 못한 책임을 통감하며 교수직을 던지고, 책임을 맡은 환자의 진료를 마친 후 수련병원과 소속 대학을 떠날 것”이라며 “정부는 의대생, 전공의, 교수가 제자리로 돌아올 수 있도록 증원을 철회하고 당장 진정성 있는 대화의 장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이날 전국의대 비대위 성명에는 강원대, 건국대, 건양대, 경상대, 계명대, 고려대, 대구가톨릭대, 부산대, 서울대, 연세대, 울산대, 원광대, 이화여대, 인제대, 전남대, 전북대, 제주대, 충남대, 한양대 등 의대 19개가 이름을 올렸다.
한 비대위원장은 전날 오후 4시 서울 세브란스병원에서 50분가량 전의교협 회장단과 비공개 간담회를 진행한 뒤 “국민들이 피해 볼 수 있는 상황을 막아야 하기 때문에 정부와 의료계 간 건설적 대화를 중재해달라는 요청을 받았다”고 말했다.
보건복지부도 “전의교협이 국민의힘과의 간담회에서 정부와의 건설적인 대화에 나설 준비가 돼 있다고 한 것에 대해 환영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