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여전히 장바구니 물가부담 커…과수 경쟁력 대책 마련할 것”

[헤럴드경제=양영경 기자]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5일 “여전히 국민들의 장바구니 물가 부담이 크다는 점을 잘 알고 있다”면서 “먹거리 물가 안정을 위한 노력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최 부총리는 이날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과 성남 분당구 하나로마트 성남점을 방문해 먹거리 가격 동향을 살펴보며 이같이 밝혔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5일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과 함께 경기도 성남시 소재 농협 하나로마트를 방문, 농축수산물 등 먹거리가격 동향을 살펴보고, 물가안정 대책 이행 상황을 점검했다. [기획재정부]

정부는 과일·채소 등 먹거리 물가 불안에 대응해 지난 18일 1500억원 규모의 긴급 농축산물 가격안정자금 지원에 착수하는 등 물가안정대책을 추진 중이다. 이날 일정은 정부 물가안정 조치의 현장 이행상황, 소비자 체감 등을 점검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하나로마트와 농협 관계자 등은 정부의 납품단가 지원 확대와 할인율 상향, 마트 자체 할인을 포함해 최대 40~50% 할인한 가격에 농축수산물을 판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농산물 물가가 안정될 때까지 가격안정자금 지원을 지속하면서 중소형 마트, 온라인쇼핑몰 이용 시에도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납품단가와 할인지원 대상 등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4월 초까지 과일 할당관세 품목을 현재 24종에서 29종까지 확대하고, 과일 직수입 품목도 바나나·오렌지 2종에서 파인애플·망고 등 11종으로 확대해 소비자에게 마진 없이 공급할 예정이다.

정부는 사과 작황 부진에 따른 가격 급등이 재발하지 않도록 관계부처 합동으로 ‘생산-유통-소비’ 등 단계별로 근본적인 ‘과수산업 경쟁력 제고대책’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냉해 등 재해예방시설 보급을 대폭 확대하고, 신규 재배 적지를 중심으로 기존 과수원 대비 생산성이 2배 이상 높은 차세대 과수원 단지를 집중적으로 조성한다. 또 올해 10만5000톤(t) 수준인 사과·배 계약재배 물량도 대폭 확대하고, 농수산물산지유통센터(APC)의 선별·저장시설을 확충해 수급 관리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최 부총리는 현장 방문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소매 가격은 정부 지원으로 내려갔지만, 도매가격은 여전하다’는 질문에 “유통구조 문제점을 개선하는 기회로 삼으려고 한다”며 “과수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대책을 준비 중”이라고 설명했다. 최근의 과일 가격 강세와 관련해 단기적으로는 소비자 가격 안정화를 위해 지원을 확대하는 동시에 유통구조를 개선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최 부총리는 또 "사과 비축도 도입을 검토한다든지 비축 대상이나 품목, 물량을 신축적으로 해서 수급관리를 제대로 하겠다"고 강조했다.

최근 과일 비축량에 대해서는 “현재까지는 공급 물량이 충분하고, 국내 과일과 경합하지 않는 수입과일 상황을 체크하면서 최대한 확대할 것”이라며 “단기적으로 가격안정 자금 지원도 기간이나 금액은 제한 없이 시장·물가상황을 고려해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최 부총리는 “전체적으로 에너지·식료품을 제외하고 추세적인 가격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는 주요국 대비 낮은 상황”이라며 “공급 충격이 사라지면 하반기에는 2%대 초중반으로 물가가 안정될 것”이라고 봤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