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몸과 마음은 조선에 남겨달라”…조선의 자연·문화 지킨 일본인

아사쿠와 다쿠미. 수림문화재단

[헤럴드경제=채상우 기자] 일제강점기 조선의 문화를 보존하고 산림을 보호하는 데 힘쓴 일본인 아사카와 다쿠미(淺川巧·1891∼1931)의 93주기를 맞아 한일 양국의 사람들이 모였다.

아사카와 노리타카·다쿠미 형제 현창회는 2일 서울 중랑구 망우리 공원 내 아사카와 다쿠미 묘역에서 '아사카와 다쿠미 93주기 추모식'을 열었다.

이날 행사에는 김종규 문화유산국민신탁 이사장, 신봉길 한국외교협회장, 정재숙 전 문화재청장, 가와세 가즈히로 주한 일본대사관 공보문화원장(공사) 등 20여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추모곡을 부르고 형 노리타카가 동생을 위해 남긴 추모시를 낭송하며 다쿠미를 기렸다.

1931년 4월 2일 41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난 다쿠미는 대표적인 친한파 인사로 꼽힌다.

일제강점기 형 노리타카와 함께 조선에서 생활하며 도자기를 비롯한 민예품을 연구하고 보존하는 데 힘썼다. 조선총독부 임업연구소에서 일하면서 '오엽성(잣나무) 노천매장법'을 개발하는 등 산림 보호에도 헌신했다.

다쿠미 묘 앞에는 '한국의 산과 민예를 사랑하고 한국인의 마음 속에 살다 간 일본인 여기 한국의 흙이 되다'라는 문구가 적힌 묘비가 세워져 있다.

다쿠미의 생애는 영화 '백자의 사람: 조선의 흙이 되다'(2012)로 만들어지기도 했다.

이동식 현창회 회장은 "우리가 아사카와 다쿠미를 존경하고 사모하고 추모하는 것은 우리가 어려울 때 와서 많은 애정을 쏟아주고 대변해줬기 때문"이라며 "서로 마음이 맞는 한일 국민들이 와서 한 분을 같이 추모하는 마음이 어우러지는 게 다쿠미, 노리타카 두 형제가 기원하고 희망했던 이상향이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이어 "한일 두 친구가 만난 자리가 더 널리 알려져서 바다 건너에서도 이런 마음을 같이 나누는 분들이 더 많아지기를 축원한다"고 했다.

가와세 공보문화원장은 "아사카와 다쿠미의 생애를 더듬어보면 한국 사람들과 그들의 민족문화에 경외를 가질 수 있다는 게 당시 국가관계 속에서 얼마나 용기를 필요로하고 어려운 일이었는지 깨닫게 된다"고 추모했다.

또 "한국과 일본의 많은 젊은이가 음악, 드라마, 영화 등 같은 것을 보고 울고 웃음 짓고 같은 음식에 입맛 다시는 것을 보면 아사카와 다쿠미는 굉장히 기뻐할 것"이라며 "한일 정부 간 관계에는 산도 계곡도 있겠지만 앞으로 한층 더 개선돼나가기를 바라 마지않는다"는 바람을 전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