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1번가 로고. [11번가 제공] |
[헤럴드경제=김벼리 기자] 11번가가 전방위적인 비용 감축 작업에 돌입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11번가는 물류센터 관련 업무를 자체적으로 소화하기 위해 일부 내부 인력을 전환 배치했다. 그동안 용역업체를 통해 처리하던 업무였다. 외주 비용을 줄이기 위한 차원이다. 전환 배치 통보를 받은 인원은 50여 명 정도로 알려졌다. 11번가 관계자는 “비용 절감과 인력 효율화를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조처는 2차 희망퇴직 접수와 동시에 진행됐다. 11번가는 지난해 12월 만 35세 이상 직원 중 근속연수 5년 이상 직원을 대상으로 1차 희망퇴직 신청을 받았다. 조건은 4개월분 급여 지급이었다. 하지만 신청자 수가 기대 수준에 미치지 못하자 2차 희망퇴직 프로그램을 공지했고, 지난달 29일까지 신청서를 접수했다. 2차는 대상자 범위를 전 사원으로 넓혔다.
업계에서는 이번 희망퇴직 이후 고강도의 인력 감축을 단행할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온다.
11번가는 사옥 이전 등 임대비용 축소 방안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11번가는 2017년부터 서울역 앞 서울스퀘어 5개 층을 사용하고 있다. 내부적으로 현재 직원 복지 공간인 1개 층을 줄이는 방안이나 과천 지식정보타운 등 외부로 본사를 옮기는 방안 등이 제안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사옥 이전은 구체적으로 검토한 바 없다는 게 회사 측 입장이다.
11번가는 국내 이커머스(전자상거래) 업체 중 거래액이 기준 쿠팡·G마켓에 이어 3위다. 현재 재무적 투자자(FI) 주도로 매각을 진행 중이다. 매각가는 5000억원 수준이다. 시장에서는 중국계 이커머스 알리익스프레스나 싱가포르에 기반을 둔 큐텐, 미국계 아마존 등을 잠재적인 인수 업체로 지목하고 있다. 아직 적극적으로 인수 의사를 타진하거나 구체적인 협상을 진행하는 곳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11번가는 앞으로도 수익성 개선을 위한 노력에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한편 지난해 11번가의 영업손실은 1258억원으로 전년 대비 17% 줄었다. 매출은 10% 늘어난 8655억원으로 역대 최대였다. 허리띠를 졸라매는 고강도 긴축 덕에 지난해 12월과 올해 1월, 2개월 연속 오픈마켓 사업의 세금·이자·감가상각 전 영업이익(EBITDA)은 흑자를 기록했다. 올해 ‘오픈마켓’ 사업의 영업손익을 흑자로 전환하고, 내년 전체 사업에서 영업이익 흑자를 달성한다는 목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