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리·테무 가격 오를까…“약탈적 가격 정책, 오래 유지 못해”

[123rf]

[헤럴드경제=박병국 기자] “중국 이커머스는 국내에서 약탈적인 가격 정책을 오래 유지하지 못한다.”

3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에서 만난 산업통상자원부 고위 관계자는 국내 기업의 가격 경쟁력 강화 방안을 묻는 말에 이같이 답했다. 그는 “향후 검수 등 절차가 강화되면 비용이 들어갈 수밖에 없다”며 “현재 가격은 오래 가지 못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대한상의에서는 산업부가 주관한 ‘유통산업 혁신 산·관·학 간담회’가 열렸다.

고위 관계자가 언급한 ‘약탈적 가격’은 알리나 테무 등 해외직구를 통해 들어오는 중국 제품을 겨냥한 것이다. 소비자를 위한 보호 장치가 강화되면 관련 비용이 가격에 포함될 것이란 의미다.

정부는 지난달 중국 이커머스를 통한 유해물질 유입, 가품 등의 논란이 거세지자 ‘해외 온라인 플랫폼 관련 소비자 보호대책’을 발표했다. 해외 사업자의 ‘국내 대리인’ 지정을 의무화하고, 짝퉁(가품) 반입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는 것이 골자다.

중국에서 직구로 들어오는 일부 공산품 가격은 국내 이커머스 업체가 판매하는 제품의 10분의 1 수준이다. 알리·테무 이용자가 급증하면서 중국에서 제품을 수입하는 도매상이나 쇼핑몰들도 직격탄을 맞았다. 실제 허연수 GS리테일 대표이사 부회장은 지난달 21일 열린 주주총회에서 중국 이커머스 업체인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 등의 국내 공습에 대해 “유통업 전체가 위협받고 있다”며 “견제를 위한 출혈 경쟁이 있을 것”이라고 우려하기도 했다.

산업부는 이달 학계·업계·정부가 함께하는 가칭 '유통미래포럼’을 발족할 계획이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전문가들도 코로나19 이후 국내 유통 환경이 온라인 부문의 성장과 중국 이커머스 플랫폼의 국내 진출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업계와 정부가 유통 전반의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이어졌다.

한편 정부는 중국 이커머스에 대한 국내 기업의 불안감이 커지는 것과 관련해 기획재정부, 공정거래위원회, 관세청, 산업부 등 유관 부처가 참여한 태스크포스(TF)를 가동 중이다. 정부 부처가 소비자 보호 강화, 가품 유입 차단, 개인정보 보호법 준수 감시 등 규제에 초점을 맞춘 대책을 내놓은 가운데 산업부는 신규 전담팀을 운영해 국내 전자상거래 생태계 강화 지원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