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안동)=김병진 기자]경북도는 산불 특별대책 기간인 4월 한달간 대형산불 사전 차단을 위해 행정력을 총동원한다고 7일 밝혔다.
최근 10년간 특별대책기간 중 산불통계를 살펴보면 연평균 22.4건의 산불로 91.19ha의 피해가 발생했으며 주요 원인으로는 소각 산불 34%, 입산자 실화 27%, 성묘객 실화 6%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2020년부터 2023년까지 매년 대형산불이 발생하고 있고 4월은 전체 대형산불 건수의 38%를 차지하고 있어 산불 예방을 위한 철저한 대비가 요구된다.
따라서 도와 시·군 산불방지 대책본부는 비상근무 체계를 강화하고 감시원 2천571명, 감시카메라 228대, 드론 80대, 감시탑 253개소 등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불법 소각 행위를 차단하기 위해 소각 산불 방지 대응반이 밀착 단속에 나서고 있다. 도는 산림과 산림으로부터 100m 이내에서 소각하는 자에게는 무관용 원칙을 적용해 최대 5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또 도내 산불 전문 예방진화대 1천77명과 공무원진화대 2천313명, 산림청 산불재난특수진화대 및 공중진화대 76명, 가용헬기 37대 등은 준비 태세를 갖추고 있다.
조현애 경북도 환경산림자원국장은 "'나 하나쯤이야, 괜찮겠지'하는 생각이 큰 산불의 원인이 될 수 있다"며 "불법으로 소각하지 않는 등 산불 예방에 적극 동참해 주시길 당부드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