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주요 빅테크들의 로고. 왼쪽 상단부터 시계 방향으로 아마존, 애플, 구글, 페이스북. [로이터] |
[헤럴드경제=김현경 기자] 미국 5대 빅테크(거대 기술기업)가 무려 771조원에 달하는 현금을 보유하면서 인수·합병(M&A), 자사주 매입 등에 과잉 지출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7일(현지시간) S&P글로벌마켓인텔리전스를 인용해 지난해 애플,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MS), 알파벳, 메타 등 5개 기업의 영업현금흐름이 총 4768억9000만달러(약 645조원)로 집계됐다고 전했다.
애플이 1164억3000만달러(약 157조원)로 가장 많았고 MS 1026억5000만달러(약 139조원), 알파벳 1017억5000만달러(약 138조원), 아마존 849억5000만달러(약 115조원), 메타 711억1000만달러(약 96조원) 순이었다.
이들 상위 5개 기업의 영업현금흐름은 6~10위인 엑손모빌, 버크셔해서웨이, 뱅크오브아메리카(BoA), 웰스파고, AT&T의 총액 2282억2000만달러(약 308조원)의 두 배를 넘어섰다.
영업현금흐름에 장·단기 투자금까지 합치면 빅테크 5곳의 현금 보유액은 5700억달러(약 771조원)에 달한다고 WSJ는 분석했다. 다른 업종처럼 높은 고정비용 없이 제품과 서비스를 판매하는 사업 모델 덕에 더 많은 현금을 창출할 수 있었다.
문제는 빅테크들의 막대한 자본이 본업이 아니라 M&A, 자사주 매입, 배당 등에 과잉 지출되고 있다는 점이다.
구글은 온라인 마케팅 소프트웨어 업체 허브스팟 인수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인수가는 400억달러(약 54조원) 이상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로이터통신이 구글의 인수 타진 소식을 보도하기 전보다 프리미엄이 30% 붙은 가격이다. 구글의 역대 M&A 중 가장 규모가 컸던 2012년 모토로라 인수가 125억달러(약 17조원)의 3배가 넘는 금액이다.
하지만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 규제당국이 빅테크의 시장 지배력 확대를 경계함에 따라 M&A가 성사되기까지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드는 실정이다. MS의 경우 2022년 1월 액티비전 블리자드 인수를 발표한 후 완료하기까지 무려 2년이 걸렸다. 앞서 2016년 링크드인 인수 당시에는 6개월이 걸렸던 데 비해 기간이 훨씬 길어진 것이다.
투자은행 제프리스의 브렌트 틸 애널리스트는 지난 5일 투자자 메모에서 “우리는 구글의 허브스팟 인수 이유와 이것이 최선의 자본 사용인지 의문을 갖고 있다”며 “격렬한 반독점 반발에 부딪힐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빅테크들은 막대한 현금을 자사주 매입과 배당에도 투입하고 있다. 금융정보업체 팩트셋에 따르면 알파벳은 2022년 590억달러(약 80조원), 2023년 615억달러(약 83조원)를 자사주 매입에 사용했다.
애플도 지난해 770억달러(약 104조원)를 들여 자사주를 매입했는데 이는 연간 연구개발(R&D) 비용 300억달러(약 41조원)의 두 배가 넘는 규모다. 미국 법무부는 지난달 반독점 소송에서 이에 대해 “애플은 스스로 경쟁에서 멀어지면서 혁신에 대한 유인이 줄어들고 있다”고 비판한 바 있다. 애플은 배당금으로도 연간 약 150억달러(약 20조원)를 지출하고 있다.
WSJ는 빅테크가 “어디에 써야 할지 아는 것보다 더 많은 돈을 갖고 있는 것도 문제”라며 “애플, 아마존, MS와 같은 기업의 인수 시도는 정밀 조사와 지연을 겪을 것”이라고 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