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 한~일 노선 다변화 결실 맺었다…“일본 수송객 크게 늘었다”

제주항공 항공기 자료사진. [제주항공 제공]

[헤럴드경제=김성우 기자] 제주항공은 “한~일 노선 다변화 전략에서 결실을 맺으면서 해당 노선을 운항하는 항공사 중 가장 많은 수송객 수를 기록했다”고 8일 밝혔다.

국토교통부 항공정보포털 실시간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제주항공의 일본노선 수송객 수는 전체 1791만9895명 중 357만8068명으로 20%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하며 국적항공사 중 1위를 기록했다. 올해 2월말 기준 64만7401명을 수송해 한~일 노선을 운항하는 모든 항공사 중 가장 많은 수송객 수를 기록하고 있다.

제주항공은 엔데믹 이후 중단거리 노선에서 선제적인 재운항 및 신규 취항을 통해 여객 수요 확보에 나서왔다. 일본 노선의 경우 도쿄, 오사카, 후쿠오카 등 대도시 노선 외에도 마쓰야마·히로시마 등 일본 지방 노선에 대한 운항을 확대하는 추세다. 특히 지난해 3월말부터 운항을 시작한 일본 지방 노선의 수송객 수가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였다.

지난해 3월부터 올해 2월까지 제주항공의 마쓰야마·시즈오카·오이타·히로시마 노선 수송객수는 총 27만6711명을 기록했다. 3월말부터 재운항을 시작한 마쓰야마와 시즈오카 노선에서 각각 8만9303명, 8만949명을 수송했으며, 6월부터 신규 취항한 오이타 노선에서 3만9345명, 7월부터 신규 취항한 히로시마노선에서는 6만7114명이 제주항공을 이용해 여행을 떠났다.

일본인 인바운드 여객 유치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 같은 기간 마쓰야마·시즈오카·오이타·히로시마 노선 탑승객 중 일본인 탑승객의 비율은 27.4%로 전체 탑승객 4명 중 1명은 일본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히로시마 노선의 경우 33.9%를 기록 탑승객 3명 중 1명이 일본인 탑승객일 정도로 비중이 높았다.

한편 제주항공은 지난 3월 인천국제공항과 히로시마국제공항이 체결한 ‘인천-히로시마 노선 활성화 및 환승객 유치를 위한 마케팅 업무협약(MOU)’에 참여해 인천-히로시마 노선 이용 촉진과 히로시마 발 인천공항 환승 수요 공동 유치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제주항공은 히로시마를 출발해 한국을 방문하는 일본인 여행객 유치는 물론 인천국제공항을 거쳐 베트남, 필리핀 등 동남아 등 제 3국으로 이동하는 환승객 유치를 위한 상품 개발에도 노력하고 있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제주항공은 코로나19 이후 다양한 노선과 운항스케줄로 시장에 유연하게 대처하며 소비자의 선택권을 확대해왔다”며 “앞으로도 시장 선도 항공사로 제주항공의 지위를 견고히 하는 한편, 인바운드 여객 유치를 통한 한국 관광 활성화에도 기여 할 것”이라고 말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