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직전 경제심리 2년 7개월만에 최고, 알고보니…

[헤럴드경제=김은희 기자]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총선) 직전 우리 국민의 경제 심리가 32개월 만에 가장 긍정적인 수준으로 측정됐다는 한국은행의 통계 자료가 나왔다.

농산물 가격 상승 등으로 생활물가 부담은 해소되지 않았지만 반도체 업황이 살아나며 수출이 증가한 점이 경제 심리 개선에 기여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달 1일 오후 부산항의 모습 [연합]

10일 한은에 따르면 뉴스심리지수(NSI)는 지난 8일 기준 115.68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021년 8월 21일(115.91)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지난해 말 96.21로 100선을 밑돌았던 이 지수는 올해 들어 상승세를 보이며 이달 3일 117.29로 연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은은 지난 2022년 1월 뉴스심리지수를 개발해 매주 화요일 실험적 통계로 공표해 왔다. 뉴스심리지수는 경제 분야 기사에 나타난 경제 심리를 지수화한 것이다.

기사에서 표본 문장을 추출한 뒤 각 문장에 있는 긍정, 부정, 중립의 감성을 기계학습으로 분류하고 긍정과 부정 문장 수의 차이를 계산하는 방식으로 도출한다. 지수가 100보다 크면 경제 심리가 과거 장기 평균보다 낙관적이라는 의미다. 이 지수는 주요 경제지표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한은 관계자는 최근 지수 상승에 대해 “반도체 업황이 눈에 띄게 개선되면서 경상수지가 흑자를 기록한 덕분으로 보인다”고 풀이했다.

올해 2월 반도체 수출물량지수는 2012년 6월 이후 11년 8개월 만에, 반도체 수출금액지수는 2017년 12월 이후 6년 2개월 만에 각각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바 있다. 같은 달 경상수지는 68억6000만달러 흑자로 지난해 5월 이후 10개월 연속 흑자를 이어갔다.

서울 서초구 하나로마트 양재점을 찾은 한 시민이 대파를 살펴보고 있다. 임세준 기자

일각에선 뉴스심리지수가 일반 국민의 체감 경기와는 동떨어진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된다.

지난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1%로 두 달째 3%대를 기록했고 고질적인 내수 부진도 지속되고 있다. 이에 반도체 활황에 따른 일종의 착시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앞서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 2월 기자간담회에서 “올해 IT(정보기술) 부문을 제외한 경제성장률은 1.6% 정도”라고 말한 바 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