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장 “PF부실사업장 정리·재구조화 차질없이”

[헤럴드경제=강승연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12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문제와 관련해 “PF발 불안요인으로 시장변동성이 확대되지 않도록 사업성 평가기준 개편 및 부실 사업장 정리·재구조화 등을 차질없이 이행하라”면서 시장의 불안심리 확산 방지 노력을 당부했다.

이 원장은 이날 오전 금융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해 “이해관계자들의 막연한 불안감이 발생하지 않도록 채권금융회사, 부동산신탁회사 및 건설사 등과도 충분히 소통할 필요가 있다”고 지시했다.

이 원장은 이날 회의에서 미국의 물가상승, 유가상승 압력 등의 리스크 요인에도 국내 금융시장이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채권금리가 오르고는 있지만 신용스프레드(국고채와 회사채의 금리 차이)가 축소되고, 자산유동화 기업어음(ABCP) 차환금리는 하향되고 있어서다.

이 원장은 “그동안 금융회사의 건전성 제고와 손실흡수능력 확충을 추진해 온 만큼, 최근의 대내외 시장 불안요인들을 충분히 감내할 수 있다”면서도 “만일의 상황에 대비해 경계감을 늦추지 말고 현장을 꼼꼼히 살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금융회사, 기업과 저신용 차주의 부실 위험에 대한 철저한 대비를 주문했다.

우선 금융회사가 충분한 자본비율을 유지할 수 있도록 건전성 상황을 세밀하게 점검하고, 필요시 경영진 면담을 실시하는 등 사전 대응노력을 강조했다. 또 고금리 지속으로 저신용층의 부실위험이 과도하게 상승하지 않도록 금융권의 사전 채무조정 제도 등 활용을 유도하라고 했다.

이어 “고금리·고유가 등 지속이 우리 기업 부문에 미칠 영향을 면밀히 점검하는 한편, 기업신용위험평가 등을 통해 사전적으로 위험을 관리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가상자산 등 고위험 자산과 관련해서는 자금흐름 동향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신용위험을 관리하고 불공정거래 행위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