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장애인 7명 중 1명은 지속적으로 우울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이 남성보다 더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장애인개발원(개발원)이 최근 발간한 뉴스레터 ‘통계로 보는 장애인의 정신건강’에 따르면, 장애인의 15.7%는 지속적인 우울감을 경험하고 있고, 8.7%는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불안감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통계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2019년~2020년까지의 ‘한국의료패널’과 통계청의 2018년과 2020~2022년까지의 ‘사회조사’ 데이터를 활용해 재분석했다.
항목별로 보면, ‘우울과 불안’에 있어 비장애인보다 장애인이, 장애인 중에서는 여성장애인이 남성장애인에 비해 우울과 불안 비율이 높았다.
장애인의 15.7%(남성장애인 12.1%, 여성장애인 20.6%)는 지속적인 우울감을 경험하고 있었고, 8.7%(남성장애인 7.9%, 여성장애인 9.7%)는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불안감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장애인의 지속적인 우울감 경험비율은 8.5%(남성 6.0%, 여성 10.6%), 불안감 경험은 5.2%(남성4.2%, 여성 6.1%)였다.
‘통계로 보는 장애인의 정신건강’[한국장애인개발원 자료] |
‘자살충동 경험’ 역시 비장애인보다 장애인이, 장애인 중에서는 여성장애인이 자살충동을 더 많이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22년 한 해 동안 장애인의 8.8%(남성장애인 8.5%, 여성장애인 9.4%) 비장애인의 5.5%(남성 4.6%, 여성 6.3%)가 자살충동을 경험했고, 여성장애인의 경우에는 9.4%가 자살충동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충동의 주된 이유로는 장애인, 비장애인 모두 신체적·정신적 질환과 우울감 등이 가장 큰 이유였다. 두 번째는 경제적 어려움, 세번째 이유로 장애인은 가정불화, 비장애인은 직장문제를 각각 들었다.
‘통계로 보는 장애인의 정신건강’[한국장애인개발원 자료] |
‘스트레스 상황’에서는 장애인의 5.8%(남성장애인 4.9%, 여성장애인 7.0%), 비장애인 4.1%(남성 3.5%, 여성 4.6%)가 전반적인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매우 많이 느끼고 있었다.
직장에서는 비장애인의 스트레스 체감 비율이 장애인보다 높은 반면, 가정에서는 장애인의 스트레스 체감 비율이 비장애인보다 더 높았다.
개발원은 “이는 자살충동의 세 번째 주요 요인으로 장애인은 가정불화를, 비장애인은 직장문제를 꼽았던 것과 연관이 있어 보인다”고 설명했다.
‘통계로 보는 장애인의 정신건강’[한국장애인개발원 자료] |
‘정신건강 상담과 처방’ 항목에서는 우울감과 스트레스 상황에 더 많이 노출된 장애인이 정신건강 상담과 처방을 받는 비율이 비장애인보다 높았다.
장애인의 15.2%(남성장애인 11.4%, 여성장애인2 0.6%)는 정신건강 문제로 전문가 상담을 받아본 경험이 있고, 13.5%(남성장애인 10.7%, 여성장애인 17.4%)는 정신건강 관련 약물을 처방받아 복용한 경험이 있었다.
비장애인은 4.6%가 전문가 상담 경험이 있고, 약물처방 경험은 4.2%였다. 또 남성 장애인은 정신건강 문제가 있을 때 상담 및 약물 처방을 받지 않은 비율이 여성보다 높았다.
‘통계로 보는 장애인의 정신건강’[한국장애인개발원 자료] |
‘정신건강 정보 접근성’과 관련해 장애인의 61.3%(남성장애인 56%, 여성장애인 68.6%)는 정신건강문제 관리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것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고, 장애인의 56%(남성장애인 49%, 여성장애인 65.6%)는 정신건강 증진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것이 어렵다고 답했다. 이는 비장애인 30.3%, 23.9%보다 두 배 이상 높은 수치이다.
이경혜 개발원 원장 “정신건강 관련해서도 장애인이 비장애인보다, 장애인 중에서는 여성장애인이 남성장애인보다 더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이번 통계자료가 장애인의 정신건강을 지원해 장애인의 자립과 사회참여를 촉진하는 정책마련에 유용하게 쓰이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개발원이 분기별로 발간하는 koddi 통계 뉴스레터(e-letter)는 국내·외에서 발표하는 조사 및 통계자료를 장애관점에서 재가공·재분석해 정책이슈 및 현황을 소개하고 있다.
통계자료는 개발원 누리집 또는 사회적관계망(SNS)에서 볼 수 있다. 또 개발원 누리집에서 구독신청을 하면 이메일로도 받아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