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광주)=황성철 기자] 학교 부적응 학생 지도를 위해 운영했던 광주 금란교실을 광주시교육청이 없애버리고 이를 특별교육기관에 위탁해 논란을 빚고 있다.
일선 학교에서는 위탁 기관에 학생들을 보내기조차 어렵고 교육 기간이 짧아 효과에도 의문이 일면서 금란교실 재개 등을 포함한 개선책 검토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21일 광주시교육청에 따르면, 교육청은 지난해 초부터 위탁교육기관 재배치 작업에 들어가 지난해 9월 금란교실을 폐지했다.
2004년 문을 연 금란교실은 전국 최초로 학교 부적응 학생들을 위한 단기 교육과정을 운영해 주목 받았다.
파견교사 1명과 생활지도사 5명 등 6명이 매주 15-20명을 대상으로 인성교육을 한 뒤 학교로 돌려보냈는데 연간 400여명이 거쳐 갔다.
금란교실에서 파견근무를 했던 한 교사는 “최소 1주일간 인성교육은 물론, 인권·평화·생명교육을 받을 수 있고 무등산 등반을 하며 극기 훈련도 하는 등 성과가 좋았다”며 “나쁜행동을 하면 교육받을 수 있다는 일종의 경고역할도 했다”고 전했다.
그렇지만 시교육청은 지난해 초 학교 폭력 가해 학생보다 피해 학생 지원이 더 중요하다고 보고 금란교실을 없애는 대신 그 기능은 특별교육 기관에 위탁하기로 했다.
시교육청은 가해학생과 학교 부적응 학생의 특별교육을 위해 교육지원청 위(Wee)센터와 심리상담센터, 청소년 문화센터 등 28개 기관을 위탁교육기관으로 지정했다.
금란교실에서 근무했던 생활지도사들은 주간보호형(통학형) 학교폭력 피해학생 전담 교육기관인 ‘빛고을 지새움’으로 보냈다.
시교육청은 금란교실 대신 특별교육 운영시스템을 통해 부적응 학생 교육 등에 나섰지만 일선 학교에서는 현장의견을 폭넓게 묻지 않고 금란교실을 폐지했다는 불만의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금란교실은 학교 폭력 가해 학생은 물론 수업을 방해하거나 친구를 괴롭히는 등 학교 부적응 학생까지 수용했다.
그런데 같은 기능을 하는 위탁기관이 드물고 교육 효과도 20여년간 경험이 쌓였던 금란교실보다 훨씬 못하다는 불만이 터져 나온다.
일선 학교 한 교사는 “지금은 아이들을 위탁기관에 보내면 하루 이틀 놀러 가는 수준이다”면서 “금란교실 폐지는 문제 행동으로 교육받아야 하는 아이들을 교육청이 외면하는 결과를 불러왔다”고 밝혔다.
금란교실 대신 시교육청이 마련한 특별교육운영시스템 홈페이지 게시판에도 개선을 바라는 의견이 많았다.
특히 교육가능 시기를 적절한 시점에 맞추지 못하면서 부적응 학생이 문제 행동 이후에도 다른 학생들과 계속 접촉을 유지하는 점은 더욱 큰 문제로 지적됐다.
한 교사는 “문제 학생에게 ‘특별교육 3일’이라는 결과를 통지했는데 특별교육 기관 신청이 모두 마감돼 3-4주 후가 돼서야 겨우 가능했다”며 “일일이 기관에 전화해서 확인하는 작업도 너무 소모적이다”고 말했다.
시교육청는 “학교폭력 가해 학생 위주였던 금란교실보다는 피해 학생 지원을 강화하자는 취지에서 특별교육기관 위탁운영으로 대체했다”면서 “학교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특별교육운영 기간을 늘리는 등 시스템 운영을 개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