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게티이미지뱅크] |
[헤럴드경제=문혜현 기자]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우려로 저축은행업권 자산건전성에 노란불이 들어온 가운데 일부 지방 저축은행 연체율이 8%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오기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예금보험공사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광주·전남·전북지역 저축은행 연체율은 8.1%로, 전년(4.3%) 대비 3.8%포인트 뛰었다.
다음으로 대구·경북·강원과 대전·충남·충북이 7.8%를 기록했다. 두 지역은 모두 전년 4.2%에서 1년 만에 3.6%포인트 상승했다.
경기·인천은 7.6%, 부산·울산·경남이 6.4%로 각각 전년(3.5%·3.8%) 대비 4.1%포인트, 2.6%포인트 높아졌다.
지난해 말 기준 전국 79개 저축은행 평균 연체율은 6.55%로, 서울(6.0%)과 부산·울산·경남(6.4%)를 제외한 지역 저축은행이 전국 평균 연체율을 넘어섰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은 대구·경북·강원의 경우 10.2%까지 올랐고, 경기·인천(8.8%), 광주·전남·전북(8.5%), 대전·충남·충북(8.4%)도 8%대로 불었다.
이처럼 지방저축은행 연체율이 뛴 데엔 부동산 관련 대출 비중이 영향을 미쳤다. 비대면 모바일뱅킹 발달로 지역 금융 공급 기능이 축소된 반면 부동산 담보·부동산 PF 대출 취급 비중이 높아졌는데, 최근 건설·부동산 경기가 침체되면서 전체 연체율을 밀어올린 것이다.
실제 지난해 말 기준 광주·전남·전북 지역 저축은행 7개사의 전체 대출금 규모 대비 부동산 관련 대출(부동산 담보·건설업·PF 대출) 비중은 37.3%였고, 연체율은 9.33% 수준이었다. PF 연체율도 13.8%를 나타냈다.
앞서 금융당국은 경쟁력이 낮은 지방·중소형저축은행을 큰 회사로 편입하기 위한 취지로 비수도권 저축은행에 대해선 동일 대주주가 최대 4개까지 저축은행을 소유할 수 있도록 규제를 낮췄다.
그러나 지난해 매물로 나온 상상인·상상인플러스·HB·애큐온저축은행은 아직 새 주인을 찾지 못했다.
이는 저축은행이 9년 만에 5000억원대 순손실을 기록하며 적자로 돌아선 데다 금리 인하 기대감이 낮아지면서 인수 매력도가 떨어진 탓이란 분석이다. 저축은행업권은 대출을 내어줄 때 고정금리 비중이 높아 금리가 떨어져야 예대마진이 커지는 구조다.
저축은행업계 관계자는 “매수 측에서도 지방 저축은행보다 수도권 저축은행을 선호하면서 인수합병(M&A)이 활발하게 이뤄지지 않는 측면이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