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중, 아세안+3 회원국 금융위기 지원체계 강화 협력

[헤럴드경제=양영경 기자] 한국·일본·중국은 아세안+3 회원국이 외환 유동성 위기 상황에서 실질·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금융 안전장치를 보강하기로 했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3일(현지시간) 조시아 트빌리시 윈드햄호텔에서 열린 '한.일.중 재무장관회의'에 참석해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와 대화를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은 3일 조지아 트빌리시에서 열린 ‘제24차 한일중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이 논의됐다고 밝혔다. 이 회의에는 최상목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과 이창용 한은 총재가 참석했다.

‘치망마이 이니셔티브 다자화’(CMIM)는 아세안+3 회원국에 외화 유동성을 지원해 역내 금융시장을 안정시키자는 취지로 2010년 3월 출범한 지역 금융협정(RFA)이다. 그 규모는 2400억달러 수준이나 아직 활용된 사례는 없다. 재원 조달이 회원국 다자간 통화스와프 약정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 등이 그 배경으로 언급된다.

우리나라는 아세안+3 공동의장국으로서 CMIM의 재원 조달 구조를 납입자본 방식으로 개선하는 논의를 주도해왔고, 이날 3개국은 회의를 통해 이 방식의 이점에 합의했다. 납입자본 방식은 평상시 CMIM 재원으로서 회원국들이 미리 돈을 내 자본금을 마련해두는 형태다.

CMIM 내 신속 금융 프로그램인 RFF 설립도 승인됐다. 이는 자연재해 등 일시적 위부충격에 따른 위기를 해소하기 위해 사전·사후 조건 없는 소규모·단기 자금지원 프로그램을 말한다.

3개국은 역내 금융안정을 위해 아세안 거시경제감시기구(AMRO)의 거시경제 감시와 연구 역량을 더 높일 필요가 있다는 점에 공감하면서 역내 채권시장 발전, 미래과제 진전사항 등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아세안+3 역내 경제가 투자와 수출, 탄탄한 소비지출 등에 힘입어 작년보다 강한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다만, 지정학적 갈등, 원자재 가격 상승, 주요 교역국의 성장 둔화, 외환시장 변동성 확대 등은 단기적 위험으로 지목됐다. 중장기 위험으로는 기후변화, 인구 고령화 등이 꼽혔다.

최 부총리는 “지정학적 대립 고조와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등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공통으로 직면한 도전과제들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한·일·중 협력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