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 때 AI가 대피 돕는다…서울시, 초고층건물 재난대응방안 마련

서울시는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 등 신기술을 활용한 초고층건물과 지하연계 복합건축물의 재난 대응을 위해 학술용역을 발주한다고 8일 밝혔다. 사진은 서울 잠실 롯데월드타워 전경.[김수한 기자]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서울시는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 등 신기술을 활용한 초고층건물과 지하연계 복합건축물의 재난 대응을 위해 학술용역을 발주한다고 8일 밝혔다.

시는 전날 관련 용역을 입찰 공고하고 이달 말 용역에 착수해 연내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초고층 건축물은 건축법과 초고층재난관리법에 따라 층수가 50층 이상이거나 높이가 200m 이상인 건축물을 말한다.

지하연계 복합건축물은 지하역사 또는 지하도상가와 건축물이 연결돼 사람이 이동할 수 있는 구조의 건축물로 서울고속버스터미널 등이 대표적 사례다.

시에 따르면 전국 초고층 및 지하연계 건축물 475곳 중 약 50%인 237곳이 서울에 밀집해 있다.

이런 시설물에서 화재 등이 발생할 경우 대규모 복합 재난으로 이어질 수 있어 선제적 안전관리 방안이 시급하다고 시는 전했다.

이에 시는 이번 용역에서 AI와 IoT 등 신기술을 활용해 재난 발생 위치를 신속히 파악하고 안전하게 대피를 돕는 방안을 모색한다.

또 시 전체에 분포된 초고층·지하연계 복합건축물을 대상으로 기존에 수립된 재난관리계획 실태도 점검한다.

이 과정에서 개선안을 마련해 향후 초고층 등 건축물의 관리주체가 체계적으로 재난사고를 예방하고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아울러 재난 상황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하고 대응력을 높일 수 있는 실질적 재난대응훈련 방안과 장기적인 정책 방향, 제도 개선안 등을 마련할 방침이다.

김성보 서울시 재난안전관리실장은 “최근 초고층화, 대형화된 건축물이 늘어남에 따라 새로운 유형의 재난이 복합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커졌다”며 “최신 신기술을 활용해 효과적인 재난관리 방안을 마련해 시민이 안전한 서울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