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한·미·일 산업장관, 내달 미 워싱턴에서 만난다…공급망·에너지 협력 강화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지난달12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상무부 회의실에서 지나 러몬도 미국 상무부 장관과 면담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헤럴드경제DB]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한·미·일 산업장관회의가 처음으로 다음달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다. 반도체 등 첨단산업 공급망·에너지 협력을 비롯해 대(對) 중국 수출통제 공조 등이 주요 의제로 다뤄질 전망이다.

9일 정부에 따르면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다음달 미 워싱턴 D.C에서 지나 러몬도 미국 상무부 장관, 사이토 겐 일본 경제산업상과 만나 3국 산업장관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산업부 한 관계자는 이날 헤럴드경제와의 전화통화에서 “다음달 미 워싱턴D.C에서 열릴 한·미·일 산업장관 회의 출장 준비팀이 대규모로 구성돼 가동 중”이라며 “이는 작년 8월 미국 캠프데이비드에서 한·미·일 정상이 만나 올해부터 3국 산업부 장관회의를 매년 열기로 합의한 데 따른 것”이라고 말했다.

한·미·일 3국 외교·국방·재무장관 회의에 이어 산업장관들도 회동을 갖고 협력관계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안 장관은 지난달 미국과 일본을 잇따라 방문해 3국 산업장관회의 관련 각국의 주요 현안 및 의제를 조율한 것으로 알려졌다.

3국은 미국이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의 경제적 영향력을 견제하기 위해 구축한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회원국이다. 한·미·일 산업장관들은 이번 회의에서 반도체·배터리, 기술안보, 핵심광물, 바이오를 비롯한 첨단산업·공급망·에너지 분야 협력 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 3국 공급망 조기경보시스템(EWS) 연계협력 시범사업을 추진해 반도체, 이차전지 등 핵심품목 분야의 공급망 정보를 수시로 공유하고 공급망 모니터링 체제 강화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무엇보다 핵심 의제는 반도체를 둘러싼 경제안보 협력이 꼽힌다. 이미 일본이 동참한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수출 통제에 한국도 참여하는 방안이 집중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우리나라도 미국 상무부가 도입한 것과 같은 수준의 수출 통제 조치를 도입하기를 원하고 있다. 앞서 미국 정부는 2022년 10월 중국의 반도체 생산기업에 미국산 첨단 반도체 장비 판매를 금지하고 인공지능(AI)과 슈퍼컴퓨터에 사용되는 반도체 칩에 대한 수출을 제한하는 수출 통제 조치를 발표했다.

원전, 무탄소 에너지(CFE) 등 에너지 분야 현안도 주요 의제로 포함될 전망이다. 앞서 지난달 6년만에 재개된 한·일 산업장관회의에서 일본은 우리 정부가 주도하는 무탄소 에너지 이니셔티브(CFEI)에 동참키로 했다. CFEI는 재생에너지·수소·원전 등 다양한 무탄소에너지원을 기업·산업계 실정에 맞게 폭넓게 활용해 탄소중립을 앞당기려는 글로벌 캠페인이다. 지난해 9월 윤석열 대통령의 유엔총회 연설을 계기로 같은 해 10월 CFE연합이 출범했다. 원전 10기 수출 목표를 국정과제로 내세운 우리나라의 경우, 3국 원전 협력도 중요한 의제다. 한국수력원자력과 미국 웨스팅하우스의 소송은 원전 수출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