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에 네이버 ‘라인’ 지분 100% 뺏길수도…“7월 초 결판”

9일 일본 도쿄 미나토구에 있는 소프트뱅크 본사 앞으로 직장인이 지나가고 있다. [연합뉴스]

[헤럴드경제=고재우·박세정 기자] 네이버가 13년 동안 키워낸 ‘라인’을 일본에게 100% 뺏길 수 있다는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네이버와 지분 매각 협상을 진행 중인 소프트뱅크가 네이버 지분 전량을 가져 오겠다는 의사를 노골적으로 드러냈다. 7월 초 협상 완료를 목표로 내걸면서 라인을 장악하려는 일본의 압박이 더 거세질 전망이다.

▶등 돌린 동업자…소뱅 “7월1일까지 지분 매각 합의 목표”= 미야카와 준이치 소프트뱅크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9일 열린 실적 발표에서 “네이버와 라인야후 지분 관련 협의를 진행 중이지만 (지분을) 60대 40, 51대 49로 할지 비율은 전혀 의논 되지 않았다”며 “지분을 100% 취득하면 여러 자유로운 선택지가 생기고 앞으로의 전략 면에서도 여러가지가 가능하다”고 언급했다.

이는 네이버가 가진 라인 지분 전량을 가져올 수 있다는 의지를 내비친 발언이다. 그러면서 그는 “51%대 49% 정도로 지배권을 높인다면 크게 변하는게 없다”고 언급해 더 큰 비중의 주식 취득을 원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현재 라인야후의 최대 주주는 지분 64%를 가진 A홀딩스다. 네이버와 소프트뱅크는 A홀딩스 지분을 절반씩 보유 중이다. 일본 정부의 탈(脫) 네이버 압박이 거세지면서 네이버와 소프트뱅크는 지분 구조를 놓고 협상을 진행 중이다.

미야카와 CEO는 오는 7월 1일까지 합의를 끝내고 싶다는 의사도 내비쳤다. 그는 “맞출 수 있으면 결산일(9일)까지 합의를 맞추고 싶어 전날에도 네이버와 회의를 했지만, 결론을 내지 못하고 보류됐다”며 “7월 1일까지 합의하고 싶지만 난도가 상당히 높다고 본다”고 밝혔다.

매각 지분에 따라 수조원대가 오가는 거래를 채 2개월이 남지 않는 시간 동안 속전속결로 끝내겠다는 뜻이다. 그만큼 네이버에서 라인을 뺏어오려는 일본의 공세가 빠르게 이뤄지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다. 7월 1일은 일본 총무성이 라인야후의 자본관계 재검토 및 보안 관련 대책을 보고하라고 한 기한이다. 지난해 11월 서버 공격으로 라인야후 이용자 51만명의 정보가 유출된 것을 빌미로 일본 정부는 “네이버와 자본 관계 재검토도 포함하라”는 취지의 행정지도를 내린 바 있다.

9일 일본 도쿄 미나토구에 있는 소프트뱅크 본사 앞으로 직장인이 지나가고 있다. [연합뉴스]

▶지분가치 10조원…네이버 결국 지분 매각 나서나= 라인야후에 이어 동업자인 소프트뱅크까지 일본 총무성의 편에서 네이버 지분 매각을 압박하면서 네이버가 공동 대주주 지위를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이 되고 있다.

라인야후는 앞서 지난 8일 ‘라인의 아버지’로 불리는 신중호 라인야후 최고상품책임자(CPO)를 사내이사에서 제외시켰다. 이사회 내 유일한 한국인이었던 신 CPO를 이사회에서 배제 시키면서 ‘네이버 지우기’에 속도를 내는 모양새다.

이데자와 다케시 라인야후 사장은 “모회사 자본 변경에 대해 강하게 요청하고 있다”며 “소프트뱅크가 가장 많은 지분을 취하는 형태로 변화해야 한다는 전제를 깔고 있다”고 언급, 네이버 지분 매각을 압박하는 발언을 내놓기도 했다.

일본의 압박에 네이버는 결국 지분 매각 가능성까지 열어 놓고 협상에 나서고 있는 상태다. 관건은 가격이다.

시장에선 네이버가 가진 라인의 지분 가치는 약 8조4000억원 수준인 것으로 보고 있다. 압박에 의한 강제 지분 매각인 만큼 경영권 프리미엄 등을 고려할 때 최소 10조원이상의 매각가를 보장 받아야 한다는 것이 업계 분석이다.

한편, 정부는 일본 정부의 탈 네이버 압박에 대응해 네이버의 판단을 존중하고, 지원하겠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네이버와 소프트뱅크의 협상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경우 정부가 더욱 적극적으로 개입할 여지도 남아있다. 소프트뱅크 측이 헐값에 지분매각을 요구하거나 네이버에게 절대적으로 불리한 조건을 제시할 경우 정부 차원에서 대응, 본격적인 한일 간의 외교 문제로 비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지난 8일 세종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네이버의 의사 결정을 최대한 보장하기 위해 이미 지난해 말부터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며 “문제의 소지가 있기에 국가의 이익을 위해서 신중하게 준비를 하고 있고 적극적 소통을 하고 있다고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