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진공 ‘해운산업 활력 제고’ 후속조치 속도

한국해양진흥공사(해진공)가 국적 컨테이너선사의 선복량을 확충하고 중소선사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는 등 정부의 ‘해운산업 경영 안정·활력 제고 방안’을 이행하는데 속도를 낸다. 이를 통해 국적선사의 경쟁력을 높이고 촘촘한 위기 대응체계 구축으로 저시황기의 경영 안정을 이끌어낸다는 계획이다.

20일 정부 등에 따르면 해양수산부가 지난달 15일 발표한 ‘해운산업 경영 안정·활력 제고 방안’에서 해진공이 후속조치를 진행하는 사업은 크게 5가지다. 우선 해진공은 국적 컨테이너선사의 선복량을 현재 120만TEU(1TEU는 20피트짜리 컨테이너 1대분)에서 2030년까지 200만TEU로 늘릴 수 있도록 지원에 나선다. 이를 위해 올해 선박금융 공급 목표를 1조2000억원 수준으로 잡고 국적선사가 선박 확보에 필요한 자금을 안정적으로 조달할 수 있도록 한다. 앞서 해진공은 2022~2023년 2조1000억원 규모(89척)의 선박금융 사업으로 국적선사의 선대 경쟁력 강화를 지원했다.

국적선사를 대상으로 맞춤형 지원도 실시한다. 선사의 재무여건과 영업실적 등 데이터를 기반으로 지원 수요를 파악하고 위기상황이 발생하면 위기대응펀드를 통해 유동성 지원을 추진한다. 위기상황에 대한 종합적인 지원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외부 전문기관과 협력에 나선다.

중소선사에 대한 지원도 강화한다. 특별지원 프로그램의 규모를 2500억원에서 5000억원으로 2배 늘리고, 지원범위와 담보인정비율(LTV)도 확대한다. 중소선사는 상대적으로 시황 대응능력이 약하고 선박금융 접근성이 낮다는 점 등을 고려한 조치다.

화주사와 해운사가 공동투자 프로젝트를 진행하면 금융지원으로 이를 뒷받침한다. 공공부문이 선화주 상생협력을 장려해 민간투자 활성화를 이끌어낸다는 취지다. 해진공은 신용도가 낮은 선사라도 우량 프로젝트에 참여하면 보증비율을 높여주는 등 ‘보증사업 강화방안’을 연내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국적선사의 질적 성장을 위해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과 환경규제에 대한 대응도 지원한다. 해운사가 ESG 역량 강화를 위해 컨설팅 업체를 이용하면 비용 일부를 대주고, ESG 등급 우수선사를 대상으로 대출금리를 낮춰준다. 위기대응펀드를 활용한 녹색채권 인수 확대도 추진한다.

아울러 정부와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등과 5조5000억원 규모의 친환경선박 건조지원 패키지도 조성한다. 환경규제 대응수준 진단부터 컨설팅, 선박금융까지 원스톱으로 지원할 수 있는 체계 역시 구축한다는 게 해진공의 계획이다. 양영경 기자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