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AP] |
[헤럴드경제=김현경 기자]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대중국 ‘표적 관세’ 부과 방침을 밝힌 가운데, 전기차 제조업체들은 완성차보다 배터리 부문 관세 인상이 더 부담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20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주 관세 발표 당시 전기차 부문 관세를 현행 25%에서 100%로 대폭 인상하는 안이 주목 받았지만 현재 중국에서 미국으로 수출되는 전기차가 적은 만큼 변화가 크지 않을 것이라면서 이같이 예상했다.
대신 전기차용 리튬이온 배터리의 관세를 기존 7.5%에서 25%로 올리기로 한 것이 미 자동차업계에 더 의미 있다는 것이다.
WSJ은 아직 세부 내용이 발표되지는 않았다면서도, 현재 발표를 근거로 볼 때 중국산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이용해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생산되는 테슬라의 저가형 ‘모델3′(스탠더드래인지)의 경우 대략 1000달러(약 136만원) 비용이 추가될 수 있다고 봤다.
또 포드가 중국산 LFP 배터리를 이용해 멕시코에서 만드는 포드 ‘머스탱 마크-E’(스탠더드래인지) 모델도 이번 발표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중국 CATL 등이 비교적 저렴한 LFP 배터리 시장을 주도하는 상황에서 미국의 대중국 제재에 대응해 LFP 배터리를 미국 내에서 생산하려는 움직임이 보인다.
CATL이 태국·인도네시아 등에 공장을 세우고 이곳에서 미국으로 수출하는 방안을 계획 중이라는 관측이 나오면서 중국 공급망을 벗어난 새로운 저가 배터리 기술 개발에 나서는 기업들도 있다.
미국은 앞서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을 통해 중국산 배터리 물질을 사용한 전기차에 대해 7500달러(약 1025만원)의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없게 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