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어린이 통학로 조성 등 재난안전사업에 특교세 765억원 지원

[12RF]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행정안전부는 어린이보호구역 내 통학로 조성 등 정책사업으로 발굴된 재난·안전 사업에 재난안전관리 특별교부세 765억원을 지원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재난안전 정책사업은 지자체의 재난 대응 역량을 높이기 위해 지자체가 필요로 하는 사업을 대상으로 필요성, 효과성, 시급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선정했다.

크게 과학적 위험 예측·전달, 생활 안전망 구축, 예방 인프라 구축, 사회재난 피해 저감 등 4개 분야를 지원한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으로 급경사지와 저수지에 상시 계측 관리 체계를 구축해 실시간으로 위험을 자동 감지하는 사업에 92억원을 투자한다.

안전한 어린이 통학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어린이 보호구역 내 통학로 및 차량용 방호울타리를 설치하는 데는 81억원을 책정했다.

인공지능 등 첨단기술을 기반으로 사고위험 상황 경고, 보행신호 자동 연장 등을 구현할 수 있는 스마트 횡단보도(19억원) 설치도 신규로 지원한다.

최근 이상 동기 범죄 등 사회적 불안 요소가 증가하는 데 따른 국민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안전사각지대 내 다목적 폐쇄회로(CC)TV 보강에도 70억원을 투자한다.

침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지하차도에 진입차단시설, 경보시설, CCTV, 수위계 등을 설치해 침수 시 자동·원격으로 작동하도록 하는 출입 차단시설 설치에는 100억원을 들인다.

주거지 등 생활권과 인접한 소하천을 대상으로 한 정비사업에는 100억원, 주민 생활과 밀접한 세천 및 소교량 정비에는 120억원을 지원한다.

다중 이용 공공시설 화재, 유해화학물질 누출 등 대규모 피해가 예상되는 사회재난에 대한 피해저감 사업에는 30억원을 책정했다.

산림 인접 지역의 산불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마을 단위 산불 예방 인프라 확충 및 개선 사업(16억원)에도 투자한다.

이상민 행안부 장관은 “기후변화로 인한 재난 피해를 최소화하고 안전사고를 방지하려면 ICT 등 첨단기술을 통한 지자체의 재난관리역량 강화가 중요하다”며 “앞으로도 행안부는 재난관리 총괄부처로서 지자체의 재난 예방과 안전관리 능력 강화를 위해 재난안전 특교세를 적기에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