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이폰 사용 모습. [헤럴드경제 DB] |
[헤럴드경제=이영기 기자] “중국 애국소비에 애플 무릎 꿇나”
중국에서 인기를 잃어가고 있는 애플이 특단의 조치를 내렸다. 역대 최저 가격 수준의 파격 할인을 선보였다. 중국 내 애국소비 광풍으로, 애플 아이폰의 점유율 크게 밀리고 있는 가운데 애플이 점유율 방어에 나서는 것으로 풀이된다.
21일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애플은 중국에서 대대적 할인 행사 나섰다. 중국 내 쇼핑몽에서 애플의 최신형 스마트폰인 아이폰 15 기본모델(12GB)이 약 86만원(4599위안)으로 판매되고 있다. 프리미엄 모델인 아이폰 15 프로맥스도 약 149만원(약149만원)에 판매 중이다.
아이폰 15의 국내 출고가와 비교해보면 파격적인 할인이다. 아이폰 15의 국내 출고가는 124만3000원으로, 현재 중국 내에서 판매되는 가격과 약 40만원 차이가 난다.
![]() |
중국 베이징에 위치한 애플 스토어 [박혜림 기자/rim@] |
이처럼 애플이 공세적인 할인에 나서는 배경엔 최근 하락한 중국 내 아이폰의 인기 때문이다. 이번 1분기 애플의 중국 내 출하량은 주목할 만큼 줄었다. 올해 1분기 중국 내 아이폰의 출하량 15.7%로, 전년 동기 대비 4%포인트 쪼그라들었다. 반면 화웨이는 같은 기간 9.3%에서 15.5%로 약 6%포인트 증가했다.
중국 내에서 애플이 지고, 화웨이는 뜨는 배경에는 애국소비 영향이 크다. 미국의 중국 제재 등에 대한 대응으로, 자국 제품을 소비하자는 중국 내 애국 소비의 상징으로 '화웨이'가 떠오르고 있다. 이에 점유율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국내 업계 관계자는 “애플의 아이폰마저 점유율을 잃어가는 것을 보면 중국 시장의 특수성에 혀를 내두를 정도”라고 말했다.
![]() |
중국 베이징에 위치한 애플 스토어 [박혜림 기자/rim@] |
한편, 폴더블 스마트폰의 선두주자인 삼성전자를 향한 중국의 위협도 점증되고 있다. 중국 내 폴더블폰 시장 점유율에서 화웨이가 1등으로 올라서며, 삼성전자가 5위로 밀려났다.
지난달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IDC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중국 폴더블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순위에서 삼성전자(5.9%)는 5위를 기록했다. 지난해 연간 점유율은 11%로, 4위를 기록했는데, 올해 첫번째 분기로 들어서자마자 한 계단 내려온 것이다. 반면 올해 1분기 점유율 1등은 화웨이로, 44.1%를 차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