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BIS 자본비율 15.57%…ELS 배상 영향에 0.1%P↓

[헤럴드경제=강승연 기자] 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손실 배상 영향으로 1분기 은행의 건전성 지표인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본비율이 소폭 하락했다.

금융감독원은 3월 말 국내 은행의 BIS 기준 총자본비율이 15.57%로 전분기 말 대비 0.10%포인트 떨어졌다고 30일 밝혔다.

보통주자본비율은 12.93%로 0.08%포인트 내렸으며, 기본자본비율은 14.26%로 0.04%포인트 하락했다.

자본비율은 위험가중자산 대비 보통주 자본의 비율을 구한 값으로, 은행의 재무건전성을 보여주는 핵심 지표로 꼽힌다.

금감원은 홍콩 H지수 ELS 손실 배상으로 자본이 감소하고 위험가중자산이 증가하면서 자본비율이 소폭 하락했다고 분석했다.

[금융감독원 자료]

다만, 모든 은행의 자본비율이 규제비율을 상회하는 등 양호한 상황이다. 총자본비율 기준으로 모든 금융체계상 중요한 은행(KB국민·신한·하나·농협·우리) 및 씨티·카카오·SC 등이 15%를 상회해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1분기부터 바젤Ⅲ 기준을 적용하게 된 토스뱅크의 경우에도 개인신용대출 위험가중치가 직전의 100%(바젤Ⅰ)에서 75%로 낮아지면서 총자본비율이 14.87%로 상승했다.

금감원은 “고금리·고환율 환경 지속 및 대내외 금융시장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예상치 못한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 손실흡수능력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며 건전성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관련 제도 정비를 지속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