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한경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제2총괄조정관(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이 31일 오전 세종시 어진동 정부세종청사 중앙재난안전상황실에서 중대본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행정안전부 제공] |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정부는 오는 7월부터 신장이식 수가를 인상하는 등 필수지역의료 보상을 지속적으로 강화한다. 정부는 또 내년도 의대 정원이 확정됨에 따라 의대교육 선진화 추진전략도 조속히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은 31일 이한경 중대본 제2총괄조정관(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주재로 회의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이 본부장은 이날 회의 모두발언에서 “정부는 단순히 의대 증원만이 아니라 대한민국 지역필수의료를 바로 세우기 위한 의료개혁 4대 과제도 속도감 있게 추진하고 있다”며 “오늘 중대본에서는 보상체계 공정성 제고를 위한 필수의료 보상 강화의 일환으로 신장이식 수가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한다”고 말했다.
앞서 정부는 올해 3월 고난도 수술 소아 가산 확대, 4월 중증 심장질환 중재 시술 보상 강화를 추진한 바 있다.
이 본부장은 “정부는 지역사회의 필수의료 기반이 강화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필수의료 분야의 보상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정부는 전날 ‘2025학년도 대학 입학전형 시행계획’을 발표했고, 이날 각 대학별 ‘대입 입시 모집요강’이 발표된다. 이에 따라 내년도 의대 정원은 전국 의대 및 의학전문대학원 40개에서 27년만에 늘어난 1540명을 포함해 총 4695명을 선발한다. 이 중 지역인재전형은 비수도권 의대 26곳 모집인원의 60%인 1913명이다.
이 본부장은 “지역인재전형으로 선발된 학생들을 지역의 우수한 의사로 양성하고 지역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며 정착할 수 있도록 정부와 지자체, 대학이 함께 지혜를 모으겠다”며 “교원, 시설, 기자재 확충 등 의대 교육여건 개선을 충실히 지원하고, 다양한 의료계 관계자와의 소통을 통해 의대교육 선진화 추진전략을 조속히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대학별 학생 증원 규모와 지역별 필수의료 여건 등을 고려해 내년도 전임교원 증원 규모를 확정하는 등 2027년까지 국립대 의대 전임교원 1000명 증원을 추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