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황주호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이 지난 4월 24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2024 한국원자력연차대회'에서 소형모듈원자로(SMR)를 활용한 '스마트 넷제로 시티' 구상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 |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지방자치단체들이 사상 처음으로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반영된 소형모듈원전(SMR) 유치전에 뛰어들었다.
SMR은 전기 출력 0.3GW 이하의 전력을 생산하면서 공장 제작과 현장 조립이 가능한 원전이다. 분산형 전원, 수소 생산, 해수 담수화 등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글로벌 탄소중립 트렌드에 맞는 새로운 미래 먹거리로 꼽힌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수력원자력은 이달안으로 대구시와 SMR 건설을 위한 부지 적합성 평가와 타당성 조사 실시를 내용으로 하는 업무협약(MOU)을 체결할 예정이다.
대구시는 2035년 상용화될 것으로 알려진 국내 1호 SMR을 대구 군위군 소보면 첨단산업단지에 건설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대구경북신공항 인근에 630만㎡ 규모로 조성되는 군위 첨단산업단지가 후보지로 언급된다. MOU를 체결한 이후에도 사전 타당성 조사와 분석 등을 통해 사업 추진 가능 여부를 검토해야 한다.
경주도 SMR 유치를 위해 발빠르게 나서고 있다. 경주에는 2030년 SMR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국가산업단지가 들어설 예정이다. 앞서 한수원은 4월 24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한국원자력연차대회에서 경주시와 SMR 국가산단 조성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두 기관은 경주시 문무대왕면 동경주 IC 인근에 SMR 국가산단을 건설하고 스마트 넷제로시티 건립을 검토하기로 했다. 스마트 넷제로 시티는 SMR을 주요 발전원으로 삼아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를 연계해 에너지를 공급하는 도시 형태다.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발전원을 통해 도시에 전력을 공급하는 모델이다.
한수원은 지난해 부산시와 SMR 조성을 위한 MOU를 체결해 현재 부산과 경주가 SMR 유치에 한발짝 앞서는 상황이다. 대규모 전력이 필요할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의 SMR 건설 여부는 인근 주민 수용성을 감안, 해당 지자체에서는 적극 나서지 않는 모양새다.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의 경우 총 10기가와트(GW)의 전력이 필요한 것으로 추정된다. 최남호 산업통상자원부 제2차관은 지난 2월 1일 원전 업계 최고경영자(CEO) 간담회에서 SMR에 대해 “전력 계통에서도 상대적으로 자유로워 최근 대통령께서 강조하신 반도체 등 첨단 산업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대안으로써도 검토가 가능하다”고 밝힌 바 있다.
SMR의 최종 입지는 정부가 SMR이 반영된 전기본을 최종 확정한 뒤에 공식 절차를 걸쳐 진행된다. SMR도 대형 원전과 동일한 부지 선정 절차를 거쳐야 한다. 한수원이 지자체의 유치 신청을 받는 ‘자율유치공모’를 거쳐 부지를 선정하고 전략환경영향평가와 예정구역지정신청을 진행해야 한다. 이후에는 산업부가 예정구역을 지정해 고시한다.
한편, 정부는 지난달 향후 15년간(2024∼2038년) 전력 수급 전망을 담은 11차 전기본 실무안에는 사상 처음으로 SMR를 주요 발전설비로 반영했다. 2035∼2036년 필요한 신규 설비 2.2GW 중 3분의 1에 달하는 0.7GW를 SMR에서 얻는 방안이 포함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