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오후 서울 서초구 더케이호텔에서 제4회 한일중 교육장관 회의가 열리고 있다. [연합] |
[헤럴드경제=김지윤 기자] 한·일·중 교육장관이 4년 5개월 만에 만나 디지털 대전환 시대 미래 교류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교육부는 15일 서울 서초구 더케이호텔에서 제4회 ‘한일중 교육장관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한일중 교육장관회의는 3국의 교육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2015년 제6차 한일중 정상회의 이후 한국 주도로 만들어진 3국 장관급 협의체다.
한국, 일본, 중국 순서로 3개국이 돌아가며 개최한다. 이번 회의는 코로나19로 인해 2020년 중국에서 개최된 제3회 교육장관회의 이후 4년 5개월 만에 열렸다.
한국에서 한일중 교육장관회의가 개최된 것은 제1회인 2016년 이후 8년 만이다.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15일 오후 서울 서초구 더케이호텔에서 열린 제4회 한일중 교육장관 회의에서 박수를 치고 있다. [연합] |
이번 회의에는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모리야마 마사히토 일본 문부과학대신, 후아이진펑 중국 교육부장, 이희섭 한일중 3국 협력 사무국(TCS) 사무총장이 참석했다.
주요 의제는 ▷디지털 대전환 시대, 3국 미래교육 협력 강화 방안 ▷미래 세대 교류 활성화를 위한 3국 협력 방안 ▷‘캠퍼스 아시아’ 사업 성과 공유 및 발전 방안이다.
교육부는 인공지능(AI) 디지털 교과서 도입과 수업 혁신을 위한 대규모 교사 연수, 디지털 교육 규범 수립 등을 골자로 하는 ‘AI와 교사가 이끄는 교실혁명’을 소개했다.
모리야마 마사히토 일본 문부과학성 대신이 15일 오후 서울 서초구 더케이호텔에서 열린 제4회 한일중 교육장관 회의에서 자리에 앉아 있다. [연합] |
일본은 2019년에 시작한 ‘GIGA’(Global and Innovation Gateway for All) 스쿨 프로그램을 통한 학생 맞춤형 교육과 교사 업무 경감 노력을, 중국은 정보·통신·기술(ICT) 활용 부문에서 유네스코 최고상을 받은 스마트교육을 각각 공유했다.
3국 장관은 회의 종료 후 ‘2024 한일중 교육혁신 공동선언문’을 발표했다.
선언문에서 3국은 “교육의 전 영역에서 디지털 전환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디지털 교육 정책과 우수 사례들을 공유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어 “디지털 격차, 사이버보안과 안전성 등 기술 활용에 수반되는 우려점에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디지털 교육에 적용돼야 할 기본 원칙을 공유하고, 다양한 해결책을 모색하는 데 3국이 협력하기로 합의했다”고 강조했다.
3국은 또 “초·중·고 학생들 간의 교류, 상호 방문 및 문화 체험을 장려하고, 이해와 우호를 증진하기 위해 청소년 스포츠 및 문화행사 등 다양한 활동을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2030년까지 캠퍼스 아시아 참여 대학생 수를 3만명까지 확대해 나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며 “아세안+3, 동아시아정상회의(EAS), 아시아유럽정상회의(ASEM)를 포함한 다자 협력체에서 협력을 강화해나갈 것을 확인했다”고 언급했다.
후아이진펑 중국 교육부장이 15일 오후 서울 서초구 더케이호텔에서 열린 제4회 한일중 교육장관 회의에서 박수를 치고 있다. [연합] |
이날 한일중 3자 회의에 앞서 한·일, 한·중 양자 회의도 개최됐다. 한일 양자 회담에서 양국은 한일 인적 교류 활성화 방안, 저출생과 지역 소멸 대응을 위한 양국 정책 공유·협력 방안, 한일 대학 총장 포럼 활성화 방안 등을 논의했다.
특히 지난해 3월과 5월 개최된 한일 정상회의의 후속 조치로 추진 중인 ‘한일 미래 청년세대 교류 활성화 방안’에 대해 심도 있는 대화를 나누고 교육 분야 협약각서(MOC)도 체결했다. 한일 양국 교육부가 MOC를 체결한 것은 한일 양국 수교 이래 처음이다.
한중 양자 회담에서는 디지털 교육정책 공유와 양국 협력 방안, 정부 초청 장학생 상호 파견 확대 등 고등교육 교류 활성화 방안, 한중 양국 기술직업교육훈련(TVET) 협력 방안 등에 대한 의견을 교환한 뒤 양해각서(MOU) 개정안에 서명했다.
이 부총리는 “3국의 연대가 아시아, 나아가 세계 발전을 앞당길 뿐 아니라 혁신적인 협력 플랫폼으로 자리 잡길 기대한다”며 “3국의 미래 세대가 디지털 대전환 시대, 경계가 모호해지는 ‘빅 블러’(Big Blur) 시대에 변화를 선도하고, 세계 공동 문제에 함께 대응할 수 있도록 일본·중국 정부와 함께 관심을 가지고 아낌없이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