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시는 서울돈화문국악당에서 6월 27일~7월 7일 市무형유산예능연합회 주최로 제4회 무형유산 명인전 및 무형문화재 예능종목 공개행사를 갖는다고 25일 밝혔다.[서울시 제공] |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서울시는 서울돈화문국악당에서 6월 27일~7월 7일 市무형유산예능연합회 주최로 제4회 무형유산 명인전 및 무형문화재 예능종목 공개행사를 갖는다고 25일 밝혔다.
첫 공연은 27일 오후 6시 송서 공연으로 시작되며 살풀이춤, 재담소리, 판소리고법, 시조, 판소리(흥보가) 전승자의 공연이 이어진다.
송서는 선비들이 일정한 음률로 한문이나 소설을 읽는 행위다. 유의호 명인이 송서 시연을 선보인다.
29일 오후 5시에는 이은주 명인의 살풀이춤이 무대에 오른다. 한해의 액운을 막기 위해 추던 즉흥적인 춤으로 쪽머리에 비녀를 꽂은 춤꾼이 하얀 수건을 들고 절제의 미를 구현한다.
30일 오후 5시엔 최영숙 명인이 재담소리를 선보인다. 재담소리는 줄거리가 있는 이야기를 익살스럽게 읊으며 관객과 호흡하는 전통 연희극이다. 장대장타령, 장님타령, 개넋두리, 장사치흉내 등이 있다.
7월 4일 오후 2시에는 송원조 명인의 판소리 고법을 볼 수 있다. 판소리 고법은 판소리에 맞춰 고수(북치는 사람)가 북으로 장단을 쳐 반주하는 것이다. 5일 19시 30분에는 변진심 명인이 거문고나 가야금, 대금, 단소, 해금 등 관현악 반주에 맞춰 시조를 가사로 노래 부르는 시조 공연을 한다. 6일 오후 2시에는 이옥천 명인이 판소리 흥보가를 들려준다. 판소리는 소리꾼이 고수 장단에 맞춰 창(소리), 말(아니리), 몸짓(너름새)을 섞어가며 긴 이야기를 전해주는 음악극이자 서사극이다.
행사 마지막 날인 7일에는 시 무형유산 보유자 6인이 한 자리에서 무대에 올라 명인전을 펼친다. 명인전에서는 경제어산, 삼현육각, 재담소리, 판소리, 수표교다리밟기 보유 명인들이 출연한다. 경제어산은 불교의식을 구성하는 소리이고, 삼현육각은 통일신라시대 삼현삼죽이 시초가 되는 현악과 관악의 협주다. 삼현은 현악기, 삼죽은 관악기이며 오늘날 향피리 2개, 대금, 해금, 장구, 북의 6인조로 구성된다.
수표교다리밟기는 정월대보름에 수표교다리를 밟으면 일년 내내 다리병을 앓지 않는다는 속설에서 시작된 세시풍속 행사다.
시 무형문화재 예능종목 공개행사는 전통 무형유산에 관심이 있는 누구나 관람할 수 있다. 명인전은 관람료 전석 2만원이다. 관련 문의는 서울돈화문국악당으로 하면 된다.
홍우석 서울시 문화재정책과장은 “모두가 함께 어우러져 신명나게 즐길 수 있는 예능 종목 위주로 공개행사를 마련했다”며 “앞으로도 시민들이 우리 무형유산을 가까이서 접하고 그 의미를 느낄 수 있는 다양한 행사를 마련해 우리 전통 문화유산 계승 및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