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이 적용된 경남 창원 LG스마트파크 냉장고 생산라인의 모습 [LG전자 제공] |
[헤럴드경제=김민지 기자] LG전자가 2030년까지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사업 매출을 조 단위 사업으로 육성하겠다는 비전을 밝혔다. 지난 66년간 축적해 온 제조·생산 데이터와 노하우에 AI(인공지능), DX(디지털전환) 등을 접목해 공장 기획부터 설계, 구축, 운영에 이르는 전 단계에 걸친 최적의 종합 솔루션을 제공하겠다는 전략이다.
▶“사업 원년 외부 수주 규모 2000억원”…반도체 등으로 산업 확장=LG전자는 올해 생산기술원이 LG그룹 계열사를 제외한 외부 업체에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공급하는 수주 규모가 약 2000억원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18일 밝혔다. 올 초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사업에 본격 뛰어든 후 사업 원년에 해당하는 첫 해이지만, 가시적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는 설명이다.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은 생산기술원이 그간 진행해 온 ▷생산 컨설팅, ▷공법/장비 및 생산운영시스템 개발, ▷생산기술 인력 육성 등의 스마트팩토리 구축/운영 노하우와 기술력을 외부에 공급하는 사업이다.
현재 주요 고객사는 이차전지 제조업체, 자동차부품 제조업체, 물류업체 등이다. 향후 반도체, 제약·바이오, F&B(식음료) 등 공장 수요 증가가 예상되는 산업군으로 진입해 사업 확장에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오는 2030년까지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사업 매출액(그룹 계열사 거래 제외)을 조 단위로 끌어올리는 것이 목표다.
LG전자가 최근 10년간 축적하고 있는 제조/생산 데이터의 양만 770테라바이트(TB)에 달한다. 고화질 영화 19만 7000여 편을 저장하는 용량과 유사한 수준이다. 1000건이 넘는 생산기술원이 출원한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관련 특허도 경쟁력이다.
여기에 AI와 DX를 연계해 ▷디지털트윈을 활용하는 생산시스템 설계/모니터링/운영 ▷빅데이터 및 생성형 AI 기반 설비/공정관리, 산업안전, 품질검사 ▷산업용 로봇 등을 모두 포함해 제공한다.
시장조사업체 프레시던스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스마트팩토리 시장은 올해 1556억달러(약 214조원) 규모에서 오는 2030년 2685억달러(약 370조원)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이 적용된 경남 창원 LG스마트파크 냉장고 생산라인의 모습[LG전자 제공] |
▶제조 AI로 종합 솔루션 제공…디지털 트윈·산업용 로봇 등 포함 =LG전자는 고객 제조 여정 전체에 걸친 종합 솔루션 차원에서 단계별 로드맵을 수립해 스마트팩토리 사업을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디지털트윈 기반의 실시간 시뮬레이션으로 생산시스템 설계 및 운영 솔루션을 제공한다.설계 단계에서는 실제와 똑같은 가상의 공장을 통해 향후 구축될 실제 공장의 생산과 물류 흐름을 미리 살펴 최적의 효율을 낼 수 있도록 한다. 운영 단계에서는 가동 데이터를 분석해 생산라인의 병목이나 불량, 고장 등을 사전에 감지하는 등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다양한 산업용 로봇 솔루션도 가능한다. ‘자율주행 이동로봇(AMR)’은 카메라, 레이더, 라이다 등 센서를 탑재,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부품/자재를 공급한다. AMR에 다관절 로봇팔을 결합한 ‘자율주행 수직다관절로봇(MM)’은 로봇 팔을 활용한 조립, 불량검사 등으로 자동화에 기여한다.
LLM(대규모 언어모델) 기반의 생성형 AI를 적용해 누구나 쉽게 솔루션을 사용할 수 있는 것도 특징이다. 예를 들어 “오후 2시 A설비 이상 떨림” 이라고 말하면 이상 신호가 서버에 기록된다.
LG전자는 무인화 생산 확대 추세에 맞춰 비전(Vision) AI 기반 실시간 감지 시스템도 개발했다. AI가 정상 가동 중인 공장 모습을 학습한 후, 이상 상황이나 온도, 불량 등을 감지한다. 생산설비나 제품 이상은 물론이고, 생산현장에 안전모나 작업조끼를 제대로 착용하지 않은 작업자도 구별할 수 있다.
LG전자는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3대 성장동력 가운데 하나인 기업간거래(B2B) 사업으로 키울 계획이다.
정대화 LG전자 생산기술원장(사장)은 “공장 기획부터 설계, 구축, 운영에 이르는 전 단계에서 최적의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