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윳값 인상폭 이번주 결론나나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소비자가 우유 제품을 고르고 있다. [연합]

올해 우유 가격을 산정하는 기준이 될 원유(原乳) 기본가격 협상 결과에 관심이 쏠린다. 협상은 원윳값 동결을 주장하는 유업체와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생산자단체 간 입장 차이로 지지부진하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낙농가와 유업계 관계자 등으로 구성된 낙농진흥회는 이르면 이번주 올해 원유 가격 인상폭을 발표할 예정이다. 양측은 이달 안에 원윳값 협상을 마치는 것에 공감대를 형성하고 막바지 조율에 나섰다. 협상은 지난달 11일부터 23일까지 12차례 이어졌다. 아직 합의점은 찾지 못했다. 협상 마감기한은 이달 말까지, 한 달간 연장됐다. 협상은 주 2회씩 진행하고 있다. 마감기한까지 2차례가 남았다.

국내 원유 가격은 유업계와 낙농가의 협상을 통해 결정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음용유 사용량이 전년 대비 2% 감소한 상황을 반영해 생산비 상승분(ℓ당 44원)의 0~60% 범위에서 가격 인상을 권고했다. 지난해 낙농가의 우유 생산비는 ℓ당 약 1003원으로, 전년(959원) 대비 4.6% 증가했다. 올해 원윳값은 농가 생산비와 시장 상황 등을 고려해 ℓ당 26원까지 오를 수 있다. 현재 ℓ당 1084원인 음용유용 원유를 기준으로 보면 최대 1110원으로 오른다.

협상에서 가장 난항을 겪고 있는 건 ‘원윳값 인상’ 여부다. 낙농가는 해마다 증가하는 생산비 부담을 호소하며 원유 기본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한다. 유업계에서는 우유 소비가 감소하는 가운데 해외 멸균우유 등과의 경쟁력이 하락하고 있어 동결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업계는 올해 원윳값 인상폭이 최소한으로 이뤄지거나 동결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고물가 상황에서 원유 가격이 계속 올랐고, 지난해에도 큰 폭으로 인상됐기 때문이다. 지난해 협상 결과, 흰 우유 등 신선 유제품의 원료인 ‘음용유용 원유’는 ℓ당 88원 올라 1084원이 됐다. 치즈 등 가공 유제품의 재료인 ‘가공유용 원유’는 ℓ당 87원 올라 887원이 됐다. 이는 2013년 원유가격연동제 도입 이후 두 번째로 큰 인상폭이었다. 줄어드는 우유 소비도 힘을 보태고 있다. 낙농진흥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우유 소비량은 430만8350t으로, 전년(441만490t) 대비 2% 감소했다.

유업계 관계자는 “흰 우유는 다른 품목에 비해 이윤이 거의 안 남기 때문에 원윳값이 10원이라도 인상될 경우 제품 가격에 반영될 것”이라며 “제품 가격이 오르면 소비는 위축될 수밖에 없어 원윳값 동결을 주장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협상에서는 지난해 도입된 원유 용도별 차등가격제에 따라 2025~2026년도에 적용할 용도별 원유량 조정도 이뤄진다. 원유 용도별 차등가격제는 원유를 용도별로 음용유와 가공유로 나눠 가격에 차등을 주는 제도다. 원유 기본가격을 농가의 생산비뿐만 아니라 시장 상황을 고려해 결정한다.

상대적으로 가격이 높은 음용유 공급이 많을 경우 물량을 줄이고 가공유 물량은 늘릴 수 있다. 지난해 음용유 과잉량이 5%를 초과하면서 이번 협상에서 음용유 감축 범위는 9112~2만7337t으로 정해졌다.

낙농가는 최소한 생산비 인상분만큼은 원유 기본가격 인상에 반영하고, 정상가를 받는 음용유 물량을 줄이지 말자고 주장한다. 유업계는 음용유보다 저렴한 가공유용 물량을 늘려야 한다고 밝혔다.

낙농진흥회 관계자는 “올해 가격과 물량 협상이 동시에 진행돼 협상이 길어지고 있다”며 “입장 차이가 뚜렷해 이를 조율하고 있다”이라고 전했다.

한편 정부는 고물가 상황을 고려해 원유 기본가격 인상이 최소화되도록 중재하고 있다. 협상 결과가 도출되면 낙농진흥회 이사회 의결을 거쳐 최종 확정된 원유 기본가격을 8월 1일부터 적용한다. 각 유업체는 원유 기본가격 인상폭을 토대로 제품가격을 조정한다.

전새날 기자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