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소영(왼쪽)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15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민생경제안정특별위원회 2차 전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 |
[헤럴드경제=강승연·홍승희 기자]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25일 가계부채와 관련해 “올해 가계부채 증가율을 경상성장률 범위 내로 관리하겠다”는 목표를 재차 강조했다.
김 부위원장은 이날 오전 국회 정무위원회 업무보고에서 모두발언을 통해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며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내실화 등을 통해 갚을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빌리는 대출관행을 확고하게 안착시키겠다”고 밝혔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도 “최근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가계부채는 우리 경제 부담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관리하겠다”며 상환능력 중심의 대출관행 등 질적 개선에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두 사람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에 대해서도 대응의지를 강조했다.
김 부위원장은 “부동산 PF는 엄정한 사업성 평가를 기반으로 질서있는 연착륙을 유도하고 PF 사업구조 개편 등 관련 제도 개선을 추진하겠다”며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 건전성 확보 위해 금융기관 스스로 부실채권을 조속히 정리하고 필요한 자본을 선제적으로 확충하도록 유도하겠다”고 설명했다.
이 원장은 “부동산 PF의 질서있는 연착륙을 위해 합리적 평가지표 마련해 진행 중”이라며 “이를 토대로 부실 사업장에 대한 구조조정과 정상 사업장에 대한 자금 지원을 유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최근 시행된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과 관련해 김 부위원장은 “감독·검사 강화, 불공정거래행위 엄정 조사 통해 차질없이 안착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어 이 원장은 “법 안착을 위해 사업자 규제, 감독 인프라 등 차질없이 이행하고, 앞으로도 주요 사업자 검사와 자율규제 지원 등을 진행하겠다”고 했다.
서민 등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도 언급됐다. 김 부위원장은 “주요국 금리인하 확산으로 인해 글로벌 경기여건이 완만히 개선될 것이란 예상도 있었지만 국내에서는 고금리와 고물가 지속으로 자영업자·소상공인 등 국민들의 어려움이 여전한 상황”이라며 서민금융 지원 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