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큐코인 환불 문제도 터질 것 같네요. 지금 큐코인 털어내려고 부랴부랴 (물건) 구입하고 있는데, 배송중이라고 떠도 실질적으로 배송되는지 알 수 없다고 하네요. 큐코인은 해외 기업이라 우리나라에서 해결책을 세울 수 없을 것 같아요. 큐코인 환불이 관건이 될 것 같은데, 지금 큐코인으로 뭘 해야 좋을까요?”
티몬·위메프(티메프) 정산·환불 지연 사태가 확산되면서 티몬·위메프의 모회사 큐텐그룹이 발행한 가상자산 ‘큐코인’에 대해서도 우려가 나오고 있다. 티메프 사태에 따른 추가 정산 지연을 우려한 셀러(판매자)들이 싱가포르 기반 이커머스 플랫폼인 큐텐에서도 대거 철수하면서 큐코인 사용은 물론 환불도 어려워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일각에선 신용카드로 해외 가상자산 구매가 가능했던 ‘규제 사각지대’가 문제라는 지적이 나온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현재까지도 큐텐에서 신용카드로 큐코인을 결제할 수 있다. 지난달 여신전문금융업법 시행령 개정에 따라 국내 발급 신용카드에 의한 가상자산 결제를 막고 해외 가상자산 가맹점에 대한 정보 공유 체계를 갖추도록 했지만, 해외에서의 가상자산 결제를 원천 차단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큐텐에서 결제 정보에 대한 가맹점 정보를 공유해 줘야 하는데, 그렇지 않아 거래가 열려 있다”며 “만약 큐텐의 거래를 막을 경우 모든 상품의 거래를 막아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통상 1차적으로 글로벌 결제망을 제공하고 있는 비자(VISA) 등 국제브랜드사들이 가상자산 가맹점 결제를 자체적으로 차단하고 있지만, 큐텐과 같은 해외 쇼핑몰에서 가상자산 성격의 코인을 거래하는 경우 가맹점 결제 정보가 쇼핑몰로 뜨면서 사실상 차단이 어렵다는 설명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가상자산 가맹점 식별값이 포함되지 않으면 비자 쪽에서도 바로 차단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상테크족 몰려든 ‘큐코인’ 뭐길래…“카드로 사고 포인트 적립”=큐텐은 2018년 블록체인 쇼핑 플랫폼 ‘큐브’(QuuBe)를 론칭하면서 자사 쇼핑몰 결제에 활용할 수 있는 큐코인(Q*Coin)을 개발해 유통했다. 큐텐은 큐코인을 모든 패밀리 사이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결제수단이라며 큐텐이 가치를 보증한다고 홍보해왔고, 큐코인 하나는 1.2달러에 판매됐다.
큐텐에서는 해외 직구(직접구매) 외에도 국내에서 활용될 수 있는 상품권이나 순금 등을 판매했는데, 큐코인을 구매해 카드 실적을 채운 뒤 큐코인으로 상품권을 구매해 네이버페이포인트·페이코포인트 등으로 현금화하는 방식의 상테크(상품권+재테크)가 인기를 끌었다.
신용카드 중에서도 신한카드 ‘더모아카드’를 이용한 소비자가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 카드는 결제 금액의 1000원 단위 금액을 포인트로 쌓아주는 카드 혜택을 제공했는데, 소비자들은 0.1단위로 구입할 수 있는 큐코인 판매 방식을 이용해 5999원 또는 1만999원어치 큐코인을 여러 차례 결제해 포인트를 쌓았다.
▶큐텐 싱가포르 기업이라 규제 어려워…국내 장악 경계해야=큐텐은 싱가포르 기업으로, 국내 법을 통한 규제나 제재가 불가능한 상황이다. 큐텐 측도 큐코인을 현금으로 돌려줄 수 없다는 입장을 밝힌 상태라 큐코인을 대량 구매했던 소비자들은 피해를 입게 됐다.
금융권에선 선불충전업 등 금융업을 영위하는 해외 이커머스 플랫폼이 규제 사각지대에서 활동해 벌어진 사례라는 평가가 나온다. 알리·테무·쉬인과 같은 중국계 이커머스가 비슷한 사업을 추진할 경우에 같은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이에 온라인 플랫폼의 독과점을 규제하는 온라인 플랫폼 공정법(온플법)을 다시 제정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대기업 플랫폼으로부터 소상공인 등 입점업체를 법적으로 보호해야 한다는 것이다. 땜질식 규제 대신 핀테크 기술을 통해 해외 이커머스 플랫폼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강형구 한양대 경영대학 교수는 “이번 사태는 일종의 ‘기업 금융 사기’로 보고, 국내 플랫폼이나 결제사가 이런 문제에 대처할 수 있도록 기술 발달로 규제 공백을 해결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문혜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