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크셔 해서웨이(이하 버크셔)를 이끄는 ‘투자의 달인’ 워런 버핏. [로이터] |
[헤럴드경제=김영철 기자] ‘투자의 달인’ 워런 버핏이 이끄는 버크셔 해서웨이(이하 버크셔)가 올해 들어 보유 중이던 애플 주식의 절반 정도를 매각한 것에 대해 시장의 관심이 모이고 있다. 버핏이 애플의 성장성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 또는 최근 경기침체 우려를 감안한 것으로 볼 수 있어서다. 하지만 애널리스트들은 버핏의 투자전략을 무시하기는 쉽지 않지만 “과잉 반응하지 말라”면서 침착함을 유지하라고 권고했다.
4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버크셔는 전날인 3일 6월 말 기준으로 애플 주식 842억달러(약 115조 원)어치를 보유, 지난해 말의 1743억달러어치에 비해 절반이나 줄였다.
이번 매각은 애플 주가가 23% 상승하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는 등 주식시장이 상승 랠리를 하는 동안 이뤄졌다. 또 이번 공개는 애플이 분기 실적 발표를 통해 매출이 성장세로 돌아서고 새로운 인공지능(AI) 기능으로 아이폰 판매량이 늘어날 것이라는 신호를 보낸 지 며칠 만이다.
버크셔는 지분 보유를 처음 공개한 2016년 이후 애플의 주가가 900% 가까이 급등했고 그 과정에서 수십억 달러 상당의 평가익을 얻었다.
시장에선 일단 최근 몇 년간 버크셔가 보유한 애플 주식 가치가 너무 커져서 보유 지분 간 균형을 맞추기 위한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왔다.
실제로 이번 매각 이후에도 애플 주식은 여전히 버크셔가 보유한 최대 단일 종목이다. 또 버크셔는 지난 5월 연례 회의에서 올해 1분기에도 애플의 지분을 줄였다고 밝히는 등 애플 주식 매각이 처음도 아니라고 밝혔다.
금융 전문지 더스트리트는 당시 버핏은 애플 투자가 너무 잘 돼서 막대한 자본 이익을 얻었기 때문에 지분을 줄이고 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와 함께 버크셔는 애플 뿐 아니라 뱅크오브아메리카 주식도 38억달러(약 5조2000억원)어치나 매각했다.
일각에선 부진한 고용지표 등을 감안해 미국의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나온 점을 주목하기도 했다.
마이크로소프트(MS), 아마존, 알파벳, 엔비디아, 테슬라 등 대형기술주들도 이러한 우려로 지난달 초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뒤 약세로 돌아섰으며 애플도 최고가 대비 6% 하락했다.
버크셔가 이번 지분 매각 수익을 그대로 현금으로 보유하거나 국채에 투자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이 역시 경기 침체 우려를 반영한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클리어스테드 어드바이저의 수석 매니징 디렉터 짐 아와드는 “버핏이 곧 경기 침체에 들어간다고 생각해서 나중에 주식을 싸게 매수하기 위해 현금 보유를 늘리는 것일 수 있다”고 말했다.
애플과 버크셔 측은 주말이어서 블룸버그의 논평 요청에 응하지 않았다.
한편 야후파이낸스는 월가 애널리스트들이 지난주 후반 급락세를 보였던 ‘AI 대장주’ 엔비디아를 재매수 할 때라고 권고했다고 이날 전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주 나스닥지수가 경기둔화 조짐 뿐 아니라 대형기술주들이 AI에 대한 과도한 지출 우려로 조정영역에 진입했으나 AI에 대한 투자 증가는 엔비디아 등 AI 반도체 제조업체에 호재라는 것이다.
메타플랫폼과 알파벳, MS는 지난 분기 400억달러(약 54조원) 이상 지출하고 아마존도 상반기 300억달러를 지출하고 하반기에는 규모를 늘릴 계획이다. 해당 기업들 대부분이 AI에 투자하고 있어 이들 기업이 전체 매출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엔비디아의 수익에는 큰 도움이 된다는 게 이들 애널리스트의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