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2024 광화문 달빛요가'에 참석한 시민들이 요가를 하는 모습. 기사 내용과는 무관함. [뉴시스] |
[헤럴드경제=서재근 기자]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이 늘고, 고령화에 따른 만성질환 확대로 급성장하고 있는 웰니스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관련 산업을 수출산업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웰니스란 질병의 사후적 치료보다 개개인의 적극적인 참여를 전제로 한 예방적 건강관리 행위다. 웰빙의 상위개념으로 전통가치와 현대기술을 융합해 소비자가 주도적으로 건강관리와 치료를 수행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지난 6일 발표한 ‘글로벌 웰니스 산업 성장과 우리나라 수출 유망분야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세계 웰니스 산업 규모는 5조6000억달러(약 7700조원)로, 오는 2027년까지 연평균 8.6%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소비 여력이 높고 고령자 비중이 커 세계 웰니스 시장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북미유럽이 시장 성장을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웰니스 산업도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2022년 기준 국내 웰니스 산업 규모는 약 1130억달러(약 155조6000억원)로 세계 9위 수준이며,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연평균 4%의 안정적인 성장을 기록하고 있다. 국내 웰니스 산업을 주도하는 분야는 전체 산업의 약 72%를 차지하는 ▷운동헬스케어 ▷전통보완의학 ▷영양식습관 ▷뷰티케어 등으로 나타났다.
국내 4대 웰니스 산업 현황 [한국무역협회 제공] |
보고서는 이 가운데 운동헬스케어 및 전통보완의학의 수출 산업화 가능성에 주목했다. 국내 운동헬스케어 산업의 차별점은 디지털 기술 도입에 있다. 실제로 다수의 의료기기 기업 및 스타트업들이 혁신 기술을 바탕으로 건강관리 기기와 솔루션을 출시해 해외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다.
서구권의 관심과 수요가 높아진 전통보완의학 분야도 눈여겨 볼 만하다. 우리나라 한의약 산업은 현대적 치료연구인프라를 바탕으로 타 문화권의 전통 의학에 비해 높은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임지훈 한국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웰니스 산업의 세계 시장 규모와 성장세에 비해 우리 기업의 수출은 초기 단계”라며 “관광산업과의 연계를 통한 국내 웰니스 산업 활성화 정책 추진과 더불어 수출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표준화, 관련 법률 마련, 연구개발(R&D) 지원, 신기술 검증 테스트베드 제공 등 다양한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