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 “전기차 배터리 100% 완충해도 안전에 이상 없다”

현대자동차 E-Pit 충전 이미지 [현대차 제공]

[헤럴드경제=양대근 기자] 인천의 한 아파트에서 발생한 전기차 폭발 화재 사고로 국내에서 ‘전기차 포비아(공포증)’가 확산하는 가운데 현대자동차·기아가 20일 “배터리 충전량(SoC)과 화재 발생 간에는 관계가 없다”고 강조했다.

양사의 이날 입장 공개는 최근 전기차 배터리 이슈 관련 소비자들의 불안감을 불식시키기 위한 차원으로 풀이된다. 현대차 관계자는 “만에 하나 배터리에서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배터리의 두뇌’ 역할을 담당하는 첨단 BMS(배터리관리시스템)가 이를 차단하고 제어한다”고 설명했다.

▶‘0~100%’…전기차 배터리, 안전 검증된 용량으로 제공=현대차·기아에 따르면 다른 가전제품 배터리와 마찬가지로 전기차용 배터리는 100% 충전해도 충분한 안전범위 내에서 관리되도록 설계돼 있다.

실제 소비자가 완충을 하더라도 전기차 배터리에는 추가 충전 가능 용량이 존재한다. 이와 관련 운전자가 수치상으로 볼 수 있는 충전량은 총 3개의 마진이 반영된 결과라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먼저 배터리 제조사에서 설정하는 마진이 반영된다. 예를 들어, NCM(니켈·코발트·망간) 배터리의 경우 g당 최대 275mAh 정도까지의 에너지를 담을 수 있으나, 배터리 제조사는 이보다 낮은 g당 200~210mAh 수준만 실제 사용될 수 있도록 설계돼 있다.

자동차 제조사 역시 일부 사용 가능 용량을 마진으로 남겨두며, BMS가 사용 가능 용량을 재산정하는 리밸런싱 과정에서도 일부 제외되는 용량이 있다.

회사 관계자는 “현대차·기아가 15년 이상 노하우를 바탕으로 개발한 BMS는 다중안전 체계를 바탕으로 총 3단계의 과충전 방지 기술이 적용돼 있어, 현재까지 단 한 건의 과충전 사고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전기차 화재 발생, 충전량과 관계 없다”= 현대차·기아는 배터리 화재 발생 원인은 충전량과 관계가 없다고 재차 강조했다. 배터리 충전량이 화재의 규모나 지속성에는 영향을 줄 수 있지만 배터리 내부의 물리적 단락이나 쇼트 발생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는 아니라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터리 화재는 제조 불량 또는 외부 충돌 등에 의해 이뤄진다. 내부에서 물리적 단락 발생시, 양·음극간 높은 전류가 흐르고 열이 발생하고, 이때 화학 물질이 분해되면서 생성되는 산소 및 가연성 부산물 등으로 인해 발화로 이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때 적은 충전량이라 하더라도 단락으로 인한 화학물질의 반응 정도가 클 경우 화재 발생 가능성은 더 높을 수 있다는 것이다. 과거 전자제품 등에서 배터리 충전을 제한한 사례가 있었지만 효과가 없었다는 점은 이를 방증한다.

회사 관계자는 “충전량을 제한하는 것은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 없다”면서 “배터리 제조 결함이 없도록 배터리 셀 제조사와 함께 철저하게 품질관리를 하고 BMS를 통해 사전 오류를 진단해 더 큰 사고를 예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부연했다.

▶커넥티드카 서비스 활용…“사각지대 최소화 노력”= 현대차·기아는 BMS가 감지한 셀 이상 징후를 고객에게 문자메시지를 통해 통보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이에 더해 “고객 통보시스템의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비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여기에서 사각지대는 리스 차량 또는 렌터카 등 회사명의로 등록한 법인차를 의미한다. 회사명의로 등록됐기 때문에 BMS가 셀 이상을 진단했다 하더라도 문자로 통보가 불가능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현대차·기아는 대형 법인사 및 기업을 대상으로 법인차를 사용하는 실운행자 명의로 등록하도록 설득하고 홍보한다는 계획이다. 실운행자 명의 등록은 해당 법인에 소속된 고객이 ‘커넥티드 서비스 앱’을 내려 받은 뒤 간단하게 진행할 수 있다.

한편 현대차·기아는 전기차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고 고객의 안전 주행을 돕기 위해 전국 서비스 거점에서 안심 점검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다.

현대차·기아 제공
Print Friendly